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0 나노미터 광학 소자' 제조 기술 개발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뉴스웍스
저자
 
종류
R&D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1-04-15
조회
1,301

본문

김대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특훈교수와 그 연구팀이 0나노미터부터 시작하는 초미세 틈 구조 제작 공정을 개발함.

 

연구진이 개발한 제로 갭 구조는 얇은 금속 층으로 이뤄져있음.

기판위에 두 금속 층을 서로 인접하게 쌓을(증착) 경우 경계면에서만 초미세 균열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함.

같은 금속 물질을 서로 다른 조건에서 기판 위에 쌓았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함. 기판을 휘게 해 당기는 힘을 가하면 0 나노미터에 가까운 틈새가 생기지만 장력을 제거하면 두 금속 층이 연결된 상태가 됨.

 

열고 닫을 수 있는 제로 갭 구조는 전자기파 투과도가 1에 가까운 'on'10만분의 1 정도인 'off' 상태를 오가는 능동 광학 소자로 쓸 수 있음.

틈이 열려 있을 땐 축전 효과에 의해 틈 내부에 전기장이 강하게 증폭돼 전자기파가 높은 비율로 투과하지만, 틈이 일부만 닫히더라도 축전 기능이 사라져 투과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임.

 

스위칭의 효율을 나타내는 on·off 비율은 무려 10만에 달하며, on·off 전환을 무려 1만번 이상 반복한 이후에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함.

김대식 특훈교수는 "틈 구조를 이용한 광학소자는 확실한 '단락'이 존재하는 전기 회로 개념이 적용돼 스위칭 효율이 높다""복잡한 나노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소자로 즉각 활용하기에도 수월하다"라고 설명함.

 

일반적으로 안테나 구성 물질을 바꿔 광학신호를 변조하는 경우 물질의 유전율(3~4)과 공기의 유전율(1) 차이가 크지 않아 광학 소자의 효율이 낮음.

 

정지윤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마이크로파 및 테라헤르츠 파뿐만 아니라 중·근적외선 영역에서도 매우 효율적인 전자기파 단락이 가능하다"라며 "5G 6G 통신에 활용되는 마이크로파와 테라헤르츠파 제어를 위한 차세대 능동 소자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함.

 

0 나노미터 광학소자 제작 기술은 반도체 소자 제작에도 쓰일 수 있음. 금속 대신 쉽게 제거 가능한 고분자 물질 등으로 초미세 틈 구조를 만들고 이 틈 사이에 반도체 물질을 증착하면 1 나노미터 미만의 폭을 가진 소자 제작이 가능함.

 

삼성, 인텔, TSMC 등의 반도체 기업의 소자 집적화 기술이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차세대 기술로 응용 가능함.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받아 UNIST와 서울대, 강원대학교의 공동 연구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광학 소자 분야의 세계적인 저널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4일자로 공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