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정부, 시스템반도체 R&D에 2400억원 투입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이뉴스투데이
저자
 
종류
정책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1-02-01
조회
1,611

본문

a97ad97e7009186841d7e903790a2330_1612747740_4916.jpg

정부가 전력 반도체, 차세대 센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시스템 반도체 유망 분야 육성을 위해 총 2400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투입함.
정부는 1일 제3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열고 글로벌 K-팹리스 육성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기술혁신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시스템반도체 유망 분야를 집중육성 하겠다고 밝힘.
이에 정부는 올해 R&D 방향을 팹리스 성장 지원 유망시장 선점 신시장 도전 등으로 정하고 시스템반도체 핵심 유망품목에 대한 기술 경쟁력 확보를 집중 추진할 예정임.

먼저 매출 1000억원 이상의 글로벌 K-팹리스 육성을 위한 챌린지형 R&D를 신설해 팹리스 성장을 지원함.
신설되는 챌린지형 R&D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팹리스를 대상으로 자유공모를 통해 경쟁력 있는 전략제품 개발을 지원함. 올해에는 총 4개기업을 선정해 3년간 55억원을 지원할 계획임.
국내 시스템반도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요기업과 팹리스가 연계한 공동 R&D 과제를 발굴하고, 국내 중소 팹리스의 창업 및 성장을 위해 창업기업 지원 혁신기술 개발 상용화 기술개발 투자형 기술개발 등 다양한 R&D 지원을 추진함.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의 핵심 부품인 차세대 전력 반도체와 데이터 경제의 첫 관문인 데이터 수집을 담당하는 차세대 센서 R&D도 강화함.
차세대 전력 반도체인 SiC(실리콘카바이드), GaN(질화갈륨) 반도체는 기존의 Si(실리콘)와 비교해 높은 내구성과 전력 효율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서,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 R&D를 지속 지원함.
 주력산업의 데이터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미래선도형 차세대 센서 R&D 지원, 센서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실증 테스트베드 설립 등 총 5000억원 규모의 K-Sensor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임.

특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AI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를 집중 지원함. AI 반도체 R&D의 핵심사업인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본격적 성과 창출을 위해 지난해 831억원에서 올해 1223억원으로 지원규모를 확대함.
또 미래 컴퓨팅 패러다임을 바꿀 PIM* 기술선점을 위한 선도사업과 초격차 기술력 확보를 위한 1조원 규모의 PIM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개발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며 국내 기업이 취약한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등 맞춤형 기술 지원과 연구 성과물의 상용화를 위한 실증까지 전주기적 지원도 추진함.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인공지능 반도체 등 미래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의 선제적 투자를 통해 민간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고, 국내 산학연 역량을 총 결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우리의 강점인 반도체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차세대 PIM 기술 선점 등 민간의 기술혁신을 적극 뒷받침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하고 제2D램 신화를 이뤄내겠다고 밝힘.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해 1조원 규모의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프로젝트 이후 올해 차세대 센서, 신개념 인공지능 반도체(PIM) 등 대규모 R&D 3프로젝트를 마련한다면서 향후 10년간 총 25000억원이 투입되는 3대 프로젝트가 우리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되며, 정부와 민간이 긴밀히 협력해 ’30년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