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국내 연구진, 신경 네트워크 실시간 연결 가능한 신경칩 플랫폼 개발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IT비즈뉴스
저자
 
종류
R&D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1-01-07
조회
1,782

본문

4200a57c175b0473b096a50e84a9fae2_1610341504_6657.jpg


카이스트(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남윤기 교수 연구팀이 나노입자 기술을 기반으로 시험관 조건에서 배양한 신경 네트워크의 연결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신경칩 플랫폼을 개발함.

 

우리 뇌의 복잡한 구조를 모방하는 신경 네트워크 모델을 체외 조건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신경세포의 위치와 연결을 원하는 구조에 맞춰 정렬하는 기술이 필요함. 그간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미세공정 기법을 통한 신경세포 형태화 기술개발이 진행되어옴.

 

허나 세포를 배양하기 전에 배양기판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배양 초기 단계에서 원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를 통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후 수일 또는 수 주에 걸친 세포 간 네트워크 형성 과정 중에 네트워크 연결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음.

 

남윤기 교수 연구팀은 세포 배양 중에도 신경 네트워크의 구조와 기능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아가로즈하이드로겔(agarose hydrogel), 금 나노막대, 미세 전극 칩기반의 신경 칩 플랫폼을 제작함.

 

해초에서 추출한 물질로 조직공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아가로즈하이드로겔은 신경세포의 흡착을 방해하는 세포 반발성을 갖고 있어 배양기판 상에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제작해 이 물질이 없는 영역에만 한정적으로 신경 네트워크를 형성시킬 수 있음. 특히 열에 의해 녹는 특성으로 국소적인 열을 통해 특정한 위치의 하이드로겔을 제거할 수 있음.

 

연구진은 원하는 영역에만 국소적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금 나노막대를 사용함. 금 나노막대는 근적외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열 특성이 있음. 마지막으로 미세 전극 칩은 신경세포의 전기적 신호를 비침습적으로 장기간 측정함.

연구진은 배양기판인 미세 전극 칩 위에 금 나노막대 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미세 패턴을 지닌 아가로즈하이드로겔 층을 제작해 각 미세 패턴 안에 독립된 신경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함.

 

연구진은 이 플랫폼을 통해 금 나노막대 층에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네트워크 사이에 하이드로겔을 국소적으로 제거했으며, 제거된 영역을 따라 신경돌기가 생장해 새로운 신경 연결이 생성됨을 확인했다고 설명함. 또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는 신경돌기에 직접 열을 가함으로써 원하는 신경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도 관찰함.

광열자극을 이용한 신경 활성 억제 현상을 이용해 개별 네트워크의 활성 변화를 조절하면서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간의 기능적 연결성을 대응하는 것도 확인함.

 

남윤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신경 세포 칩 플랫폼은 신경회로의 구조와 기능을 세포 발달과정 중에 조절할 수 있다앞으로 뇌신경과학 연구를 위한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의 체외 신경 모델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함.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홍나리 박사과정(지도교수, 남윤기)이 주도한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29일자에 게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