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2021년 1월 과학기술인상 '한국과학기술원 김범준 교수'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로봇신문
저자
 
종류
기타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1-01-07
조회
1,741

본문


4200a57c175b0473b096a50e84a9fae2_1610341700_3432.png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02011월 수상자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범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 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는 시상임.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김범준 교수가 간단한 공정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 탄화입자와 고성능 연료전지 개발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높게 평가했다고 밝힘.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고분자를 연결한 사슬구조, 사슬 간 반발력과 인력이 작용하여 다양한 나노구조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음. 1839년 독일 화학자 프리드리히 쇤바인(Friedfich Schonbein)이 첫 연료전지 논문을 발표한 이후, 국방항공우주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료전지 활용이 급증하는 가운데 김범준 교수의 연구 성과는 차세대 연료전지 시장의 핵심 기술을 선점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김범준 교수는 고기능 분리막을 이용한 멤브레인 에멀전(membrane emulsion) 방법으로 높은 내구성의 탄화입자를 대량 생산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등의 고성능 에너지 소자를 성공적으로 만들어 냄. 에멀전은 고분자 입자를 용액 상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이며, 멤브레인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균일한 고분자 입자만을 선택해 고품질의 입자를 대량으로 얻어낼 수 있음. 연구팀이 이번에 설계한 탄화입자는 세계 최고수준의 연료전지 내구성을 가졌을 뿐 아니라, 고가의 백금재료를 기존 상용제품 대비 20분의 1만을 사용했음에도 높은 성능을 달성하여 연료전지의 내구성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함.

 

연구내용은 20207월 에너지 인바이런먼털 사이언스(Energy Environ. Sci.)지를 비롯하여, 20198월과 20205월에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등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됨.

 

김범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성능과 내구성, 가격 요건을 갖춘 고성능 연료전지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데 의의가 있다라며, “관련 기술은 향후 연료전지 뿐 아니라 태양전지, 이차전지 등 여러 에너지 소자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수상 소감을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