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필요없다”…‘백신의 위력’ 보여주는 한 장의 그래프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한겨레
- 저자
- 종류
- 기타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12-14
- 조회
- 2,235
- 출처 URL
본문
이제 막 공급되기 시작한 백신은 죽음의 코로나19 롤러코스터에서 탈출할 도구가 될 수 있을까?
세계 각국이 잇따라 백신 긴급사용 승인에 나섰음. 화이자 백신은 지난 2일 영국을 시작으로 캐나다,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에 이어 미국까지 6개국의 승인을 받아냈음.
미국에선 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주말 잇따라 백신 사용을 승인했음. 두 기관의 자문기구들은 백신 공동개발업체인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제출한 보고서를 토대로 심의한 뒤 표결을 통해 각기 ‘찬성 17-반대 4’ ‘찬성 11-반대 0’으로 백신 승인 권고 결정을 내렸음. 이번주부터 접종이 시작되는 화이자 백신은 임상 3상 시험 결과 95%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음.
자문위원들은 왜 압도적인 찬성표를 던졌을까? 회의에 제출된 53쪽짜리 보고서 속의 한 그래프(위)에 그 답이 들어 있음. 이 그래프에는 백신을 접종한 사람과 위약을 투여한 사람 간의 코로나19 감염률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남.
위약 주사를 맞은 사람이 파란색 선, 백신을 맞은 사람이 빨간색 선임. 그래프를 보면 1회째 주사를 맞은 후 첫 주 동안은 두 그룹의 감염자 수가 거의 같은 속도로 늘어남. 그러나 12일째부터 두 그래프의 방향이 갈라지기 시작함. 백신 접종자들에게 면역력이 생기기 시작했기 때문임.
날짜가 지날수록 두 그래프의 간격은 크게 벌어짐. 백신 접종 그룹에선 2주 이후부터는 코로나19 신규 감염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음. 반면 위약 투여 그룹에선 감염자 증가 속도가 줄어들지 않았음. 면역학자인 플로리안 크래머는 이 그래프를 자신의 트위터에 공유하면서 “말이 필요없다. 이것이 백신이 하는 일이다.”라며 놀라워 했음.
◇ 3주 간격 2회 접종…"75% 이상 맞아야 집단면역“
화이자는 12월10일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MJ)에 발표한 백신 임상시험 결과 보고 논문에도 이 그래프를 실었음. 이에 따르면 임상시험 참가자 4만3448명 중 2만1720명에겐 백신(BNT162b2)을, 2만1728명에겐 위약을 투여했으며 2회 접종(1회당 0.3ml)을 모두 마친 지 7일 이후 감염자가 발생한 사례는 백신그룹이 8명, 위약그룹이 162명이었음. 첫번째 투약 이후 발생한 10건의 중증 감염자 중 9명은 위약투여자였으며 백신투여자는 1명이었음. 논문은 백신 접종 부작용으로 짧은 기간 주사 부위의 통증과 피로감, 두통을 꼽았음. 화이자 백신 주사는 3주 간격으로 어깨의 둥그스름한 부분을 이루는 삼각근 부위에 놓음. 주사량은 0.3ml임.
백신의 진정한 효과는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만 보호하는 게 아니라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도 보호해준다는 점임. 백신 접종자 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소수 감염 사례가 발생해도 다른 사람으로 전파되는 길이 막힘. 이를 집단면역 효과라고 부름.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60% 이상에 면역이 생기면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하지만 감염성이 매우 강한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는 면역력 보유자가 이보다 더 많아야 집단면역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함.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집단면역의 분기점을 `전체 인구의 75~85%'로 봄.
그동안 개발됐던 감염병 백신은 수많은 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켰음. 위의 그래프는 1955년 소아마비, 1963년 홍역 백신이 개발된 이후 미국의 소아마비, 홍역 환자가 얼마나 극적으로 감소했는지를 잘 보여줌.
화이자 백신을 시작으로 드디어 코로나19 사태에도 반전의 기회가 왔음.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빨리 백신을 맞히느냐가 코로나19의 집단면역 시기를 좌우할 것임. 하지만 11월 미국의 갤럽 여론 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인의 42%가 백신을 맞을 생각이 없다고 답변했음. 백신에 대한 불신, 소셜미디어 등에 나도는 음모론, 가짜뉴스 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임. 미국의 백신 전문가들은 실제로 42%가 백신을 맞지 않는다면 집단면역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함. 또 하나의 변수가 있음. 백신의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될지임. 이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도 명확한 답을 갖고 있지 못함.
- 이전글나노종기원, 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 국내 첫 구축 20.12.21
- 다음글2050년 '탄소중립' 구현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등 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 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