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열로 전기 만드는 하프호이즐러 물질의 나노구조 제어 성공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매일경제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11-11
- 조회
- 2,541
- 출처 URL
본문
국내 연구진이 기존 대비 열 전도도를 3배 이상 낮춰 열전성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하프호이즐러 열전재료의 나노구조를 제어법을 개발했음.
1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최벽파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경북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준 안정상을 활용한 하프호이즐러 열전재료의 나노구조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음. 준 안정상은 어떤 물질의 가장 안정적인 상태는 아니지만 상당한 안정성을 유지하는 상태임.
하프호이즐러 화합물이란 열전발전, 태양광 발전 등 에너지 재료로 사용되는 합금임. 하프호이즐러 물질은 버려지는 열이 풍부하고 300~800℃의 중온 영역에서 높은 효율의 열전발전을 가능케 함. 열전발전은 온도 차에 의해 생긴 전위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방식임. 특히 열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강도)이 우수하고 높은 제벡 계수(온도 차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도)와 출력 계수를 지니고 있음. 또 독성이 없고 지구에 풍부하게 매장된 원소로 이뤄져 있다는 장점이 있음. 다만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낮은 열전성능을 갖는다는 약점이 있었음.
열전 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로 직접적으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소자임. 소자의 양단에 온도 차가 존재할 때 내부의 전하가 이동함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킴. 좋은 열전재료가 되기 위해서는 소자 양단의 온도 차는 오래 유지돼야 하고 전하는 잘 이동해야 하므로 열전도도는 낮아야 하고 전기 전도도는 높아야 함.
열 전도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포논(입자)의 산란을 극대화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상의 경계를 만든 후 나노 결정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음. 이 때문에 기존에는 하프호이즐러 합금을 제조한 뒤 물리적으로 파쇄해 나노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해 굳히는 방법을 사용해왔음. 하지만 이 방법은 나노결정의 크기 제어는 물론 복잡한 미세구조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열전도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는 매우 어려움.
최 교수 연구팀은 문제해결을 위해 준 안정상(비정질)의 결정화 방법을 활용했음. 준 안정상은 안정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안정한 상을 의미하는데 열처리를 통해 안정상(고체, 액체, 기체 등)으로 쉽게 상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 이때, 열처리 온도에 따라 준 안정상(비정질)의 결정화 거동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이를 이용해 나노결정의 크기와 상을 제어할 수 있음.
연구팀은 급속냉각 공정을 이용해 하프호이즐러 조성을 가진 비정질(준 안정상)을 제조한 뒤 비교적 저온에서 짧은 열처리를 통해 하프호이즐러 물질 내부에 풀호이즐러 나노 석출물이 존재하는 복잡한 나노구조를 만들었음. 최 교수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열처리가 필요 없으므로 쉽고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복잡하고 세밀한 나노구조의 형성이 가능함.
연구팀은 특히 이번 연구에서 3차원 원자 탐침 현미경(Atom probe tomography)과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활용했는데 하프호이즐러 물질 내부에 존재하는 수 나노미터의 풀호이즐러 석출물의 존재를 규명하는 데도 성공했음.
최벽파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방법을 활용해 만든 열전재료는 기존 대비 복잡한 나노구조를 갖고 있어 3배 이상의 열전도도 감소 와 함께 열전발전 성능도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음.
본 연구 성과는 ‘Nano Energy’ 지에 게재됨
- 이전글포스텍, 손가락 터치로 홀로그램 구현...미래 디스플레이에 ‘한걸음’ 20.11.16
- 다음글삼성종기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연구성과 네이처지에 게재 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