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거점(허브) 구축·활용방안 확정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저자
 
종류
정책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0-10-14
조회
1,953

본문

추진배경

 

소부장 2.0, 미래 공급망 창출로 GVC 재편에 선제적·공세적 대응

 

수출규제 이후 코로나19, ·무역갈등 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분업구조의 균열은 교역의존도가 큰 우리나라에 중대한 위협

* GVC 의존도(’19, 무역협회) : 55%, 53%, 51%, 45%, 44%, 43%

 

ㅇ 근본적 소부장 기술력 확보만이 위기를 기회로바꿀 수 있는 무기로, 핵심품목 기술자립을 넘어 신시장·신산업 창출 미래기술 확보 추진

 

차세대 소부장의 원천, 혁신적 미래 소재 선점 필요

 

ㅇ 소재는 부품 및 제품의 성능과 부가가치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특히 첨단산업의 경우 소재혁신을 통해 산업의 주도권 선점 가능

* 첨단산업에서 소재 기여도(‘16, The Advanced Materials Revolution) : IT 70%, 에너지 60%, 바이오 50%

 

ㅇ 혁신적 특성을 갖는 소재를 조기에, 경제적으로 확보하여 차세대 소부장 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 선도역량을 축적할 필요

* 신소재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20년 이상 소요(예시 : LED의 경우 ‘90년대 최초개발

’05년 상용화)되고 성공 가능성은 낮으나, 개발 성공시 장기간 시장 독점 가능

 

데이터 수집·공유·활용 플랫폼을 통한 소재 R&D 파이프라인 혁신

 

ㅇ 최근 데이터 활용을 통해 실험·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첨단소재 개발기간을 단축시키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

* 소재 게놈 이니셔티브(MGI), 머터리얼 DX 플랫폼, EU Battery 2030+

 

디지털 뉴딜을 기회로,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공유·활용과 개방·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소재 R&D 비용·시간 획기적 절감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