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내 신소재는 모두 최초”… 인류 기후문제 풀 열쇠 내놨다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조선일보
저자
 
종류
기타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0-10-14
조회
1,993

본문

지난달 25일 서울대 공대 39동 실험실. 한쪽에 있는 화이트보드에는 복잡한 화학식과 분자 구조 모양이 빼곡히 적혀 있었음. 남기태(43)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칠판 위 분자 구조를 설명하면서 이제 저희가 발견하는 것들은 모두 세계 최초가 되고 있다인류 지식과 지평을 넓혀간다는 자부심이 있다고 말했음.

 

남 교수는 세계가 주목하는 젊은 과학자임. 인공 광합성 등 생명체의 원리를 모방한 신소재를 연구하고 있음.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거론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는 남 교수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동년배 연구자들 가운데 최고 우수한 과학자라며 나보다도 빠른 속도로 나가고 있다고 말했음.

 

남 교수가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사 시절이던 2000년대 초반 많은 동료들은 반도체 연구에 뛰어들었음. 취업이 잘됐고, 성과 내기도 상대적으로 쉬워 보였기 때문임. 하지만 남 교수는 생명체라는 생소한 분야에 도전했음. 그는 똑똑한 친구들이 비슷한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것을 보고 다른 도전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했음.

 

한국 과학계는 새로운 연구보다 남들이 한 업적을 빠르게 따라가는 풍토가 지배적이었음. 이 때문에 한국인 노벨상 수상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왔음. 자신이 좋아하는 연구를 독창적으로 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남 교수는 한국 과학계의 성공 공식에서 벗어난 길을 걷고 있음. 그는 과학이, 연구가 신나고 설렌다고 했음.

 

과학계 난제에 도전해 세계적 성과

 

남 교수는 어릴 적 만화영화에 나오는 과학자를 보거나 노벨상 수상자 위인전을 읽으며 과학자를 꿈꿨다고 함.

 

미국 MIT에서 박사를 하면서 바이러스를 이용한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음. 남 교수는 2015년 세계 최초로 금속 나노 입자를 카이랄(chiral)’ 구조로 만들어 세계 과학계를 놀라게 했음. 카이랄은 왼손과 오른손처럼 거울로 보면 대칭인 구조를 말함. 자연계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인데, 이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은 과학계의 난제(難題)였음. 이 연구는 20184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음. 국내 연구로 네이처 본지 표지를 장식한 건 2012년 이후 두 번째였음. 금속에 카이랄 구조를 구현하게 되면 효율이 좋은 촉매 제작이나 홀로그램(3차원 영상), 제약, 광학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음. 이 때문에 미국과 독일, 스페인 등 노벨상급에 해당하는 수많은 해외 연구자가 남 교수에게 공동 연구를 제안하고 있음.

 

남 교수는 연구를 통해 인류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고 했음. 10~20년 후 자연과 같은 역할을 하는 새로운 개념의 인공 광합성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표임. 광합성은 식물이 빛과 이산화탄소, 물을 이용해 산소와 당을 만드는 과정임. 남 교수는 이 과정에 가장 근접한 신소재를 만들었음. 인공 광합성을 이용하면 이미 나무를 많이 심어 조절할 수준을 넘어선 온실가스(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인류에게 유용한 화학물질이나 재료를 만들 수 있음.

 

남 교수가 지금까지 낸 논문(170)은 다른 논문에 1만회 인용됐음. 네이처나 사이언스 같은 최정상급 국제 학술지에도 논문 12편이 실렸음.

 

"90% 실패가 성공의 열매

 

매번 성공만 했을 것 같던 그도 연구의 90%는 실패한다고 말했음. 박사 과정 시절 한 달 동안 밤을 새워도 원하던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가 있었다고 함. 남 교수는 열매와 나뭇잎이 떨어져도 결국 썩어서 밑거름되고 다른 열매와 꽃을 자라게 하듯, 연구는 수많은 작은 실패들 속에서 성공을 쌓아가는 것이라고 말함.

 

1977년생인 남 교수는 아직 43세로 젊음.

 

과학자는 세상에 꿈과 미래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연구를 통해 에너지·환경 문제뿐 아니라 사회 문제에서도 길라잡이가 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