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1+1 기술’로 상용화 앞당겨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서울경제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10-22
- 조회
- 1,965
- 출처 URL
본문
국내 연구진이 상용화 분기점인 20%에 가까운 18% 효율의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음. 기존 12.5%의 효율을 45%나 끌어올려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의 장성연 교수팀은 서로 다른 소재의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음.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성질이 다른 고분자 태양전지를 이어 붙인 ‘1+1 기술’임.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흡수하지 못하는 태양광 근적외선 영역을 고분자 소재가 대신 흡수하는 방법으로 전지 효율을 높였음.
광흡수 소재(광활성층)로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를 쓰면 일반 유·무기물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보다 열에 대한 안정성이 훨씬 우수한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음. 휘발성 물질이 없고 구조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임. 하지만 이 물질로 태양전지로 만들었을 때 일반 유·무기물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보다 효율이 떨어짐.
연구진은 두 종류의 광흡수층을 함께 쓰는 방식으로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약점을 보완했음. ‘페로브스카이트 단위 전지(sub-cell)’와 ‘고분자 소재 단위 전지’가 상하로 직렬 연결된 ‘1+1 탠덤 구조’ 전지를 만든 것임. 페로브스카이트 단위 전지는 태양광 가시광선 영역을, 고분자 소재 단위 전지는 근적외선 영역을 흡수하는 원리임.
장 교수는 “광학시뮬레이션을 통해 상호보완적인 태양광 흡수 영역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와 고분자 소재를 각각 디자인하고, 두 개의 단위 전지를 결합할 때 발생하는 ‘전압 손실’을 최소화해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음.
특히 새롭게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는 전체 제조 공정을 ‘저온용액공정법’을 통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음. 액체(용매)에 전지재료를 분산시킨 뒤 인쇄하듯 찍어내는 방식임. 그 덕분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제조비용도 저렴함.
장성연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는 각 소재가 갖는 장점을 최대치로 끌어내는 기술이 적용됐다”며 “이를 통해 향후 28% 이상의 고효율·고안정성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태양전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음.
본 연구 성과는 ‘Advanced Energy Materials’ 지에 게재되었으며, 한국연구재단(NRF)과 중견연구자과제와 기후변화대응과제의 지원으로 수행됨.
- 이전글재료연‧창원대, 고체전해질 태양전지 세계 최고 성능 구현 20.10.26
- 다음글표준연,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훈트금속' 원리 밝혔다 2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