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압력과 인장을 구분하는 무선통신 전자소자 개발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뉴스1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09-22
- 조회
- 1,880
- 출처 URL
본문
KAIST는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 김상욱 교수 공동 연구팀이 신물질을 이용해 압력과 인장(늘리기)을 구분할 수 있는 무선통신 소자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음.
공동 연구팀은 무선통신에 활용되고 있는 전기 공진기(electrical resonator)가 여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음.
원거리에서 여러 자극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처리시스템의 경우 최근 주목받고 있는 웨어러블과 임플란터블(체내이식형)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음.
특히, 수동형 소자들로 만들어지는 전기 공진기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물질 등 다양한 기능성 재료로 구현이 가능해 웨어러블·임플란터블 소자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전기 공진기의 무선통신 신호는 2개의 요소로 결정됨.
즉, △공진기의 정전용량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 △공진기에 저장된 전자기파 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품질 인자(quality factor)'에 의해 결정됨. 따라서 최소 두 가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기존에는 공진기의 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과 관련된 물질의 특성 및 소자의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효과적인 신호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음.
공진주파수와 품질 인자의 변화를 분화하기 위해서는 공진기의 저장된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신물질이 필요한데 공동 연구팀은 2차원 신물질인 `맥신(MXene)'을 사용했음.
연구팀은 우선 압력에 따라서 기공이 닫히는 다공성 탄성체에 Ti3C2Tx 조성의 맥신을 코팅해 외부 자극에 따라 공진기의 저장된 에너지를 변형시킬 수 있는 센서로 활용했음.
이때 탄성체와 맥신 사이에 나노 접착제 역할을 하는 폴리도파민을 도입해 2000번 이상의 반복적인 수축과 이완에도 신뢰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소자를 만들었음.
나아가 연구팀은 딥러닝 기법을 적용해 미리 학습됐던 압력과 인장 자극을 구분해 정확하게 맞추고,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압력과 인장 자극도 약 9%의 오차 이내로 맞출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음.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무선으로 기계적 자극을 구분해 측정할 수 있고, 생체친화적이며 가볍기 때문에 웨어러블 소자로 활용이 가능한 게 장점임.
공동 연구팀은 이 밖에 새로 개발한 소자를 기반으로 정형외과 수술 이후 재활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구축했음.
스티브 박 교수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무선통신 소자의 신호처리에 대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신물질인 맥신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있는 연구성과ˮ라면서 "헬스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임플란터블 모니터링 전자소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ˮ고 밝혔음.
본 연구 성과는 ‘ACS Nano’ 지에 게재됨.
- 이전글재료연, 가볍고 튼튼한데 잘 늘어난다…이런 스테인리스 강은 처음 20.09.28
- 다음글경북대, 제올라이트가 면 마스크 성능 2배 높일 수 있다 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