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고려대, 페로브스카이트 LED TV 나올까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파이낸셜뉴스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10-13
- 조회
- 2,075
- 출처 URL
본문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어려운 청색광 구현 문제가 해결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대신 페로브스카이트 발광다이오드(PeLED) TV를 집에서 볼 날이 더 가까워졌음.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송명훈·곽상규 교수팀이 고려대학교 화학과 우한영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청색광을 발산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PeLED)'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음.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PeLED가 청색광을 만드는 효율이 기존 대비 3배 이상 높고 색 순도가 높아 또렷한 푸른색 구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음.
송명훈 교수는 "PeLED는 6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OLED 수준의 효율을 구현했지만, 청색광 효율이 10% 수준 이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소자 효율과 색 순도 문제가 동시에 개선돼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음.
연구진은 페브스카이트 물질을 복잡하게 조작하는 방식 아닌 인접한 물질을 바꿔 소자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이용했음. 발광 소자 내에서 페로브스카이트와 인접한 '정공수송층' 물질을 바꾼 것임. 페로브스카이트 소자를 만들 때 공정이 단순해져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함. 새롭게 합성한 유기물을 정공 수송층로 썼을 때 기존 발광소자 대비 3~4배 정도 효율이 향상됐고 색 순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전계발광 스펙트럼'도 크게 안정됐음.
제1저자인 장충현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청색 PeLED의 근원적인 문제를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층 자체가 아닌 페로브스카이트와 정공수송층간의 경계면 성질 변화로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고 설명했음.
연구진은 PeLED 소자에 쓰이는 전도성 고분자를 대신해 '공액 고분자 전해질'을 정공 수송층으로 썼음. 정공 수송층을 이 물질로 바꿨을 때 페로브스카이트입체 구조의 규칙성(결정성)이 좋아지고 계면에서 결함이 줄어 발광소자가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효율이 크게 향상됐음. 또 공액 고분자 전해질을 구성하는 곁가지 이온의 크기가 클수록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뚜렷한 결정성을 갖고 계면에 결함이 적은 것을 확인했음.
한편, 발광소자는 TV나 휴대폰에서 색상을 구현하는 장치임. PeLED는 색상 구현 물질로 페로브스카이트를 씀. 페로브스카이트는 이온(ion)을 품고 있는 물질로 이온 종류를 바꾸는 방식으로 여러 가지 색상을 만들 수 있음. 다른 발광 소재들에 비해 생산 단가가 낮고 자연에 가까운 천연색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크게 주목받고 있음.
하지만 청색 PeLED는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바꾸는 효율이 10%밖에 되지 않아 전력소모가 많음. 빨강이나 녹색의 절반에도 못 미침. 또 청색 PeLED를 구현하기 위해 첨가하는 이온 때문에 색 순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 또렷한 청색이 아닌 다른 색상이 섞여 나옴.
본 연구 성과는 ‘ACS Nano’ 지에 게재됨.
- 이전글기계연‧성균관대, 파라핀으로 코팅한 유리, 물·먼지도 튕겨낸다 20.10.19
- 다음글ICT 수출액 4개월 연속 증가…시스템반도체 역대 최고 기록 2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