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UNIST, ‘흑린’의 나노 주름 생성과정 첫 포착...그래핀 잇는 신소재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파이낸셜뉴스
저자
 
종류
R&D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20-09-28
조회
1,754

본문

차세대 전자소자의 새로운 소재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흑린(검은색 인)이 외부 빛에 반응해 주름(나노 주름)처럼 구겨지는 전 과정을 최초로 포착한 연구가 나왔음. 흑린은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을 잇는 2차원 소재로 주목받고 있음. 이번 연구는 흑린의 나노 주름에 의해 파생되는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UNIST 화학과 권오훈 교수팀은 흑린(Black phosphorus, P)에 섬광을 비추는 방법으로 흑린 내부의 미세구조가 변형되는 전 과정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음.

 

흑린은 전자소자나 나노 스케일 미세기계(NEMS) 재료로 주목받는 물질임. 전기적 특성을 쉽게 바꿀 수 있어야 이러한 소자 재료로 쓸 수 있는데, 흑린은 외부자극으로 미세구조가 변형되면 전기적 특성이 바뀌는 특이한 성질이 있기 때문임.

 

권오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흑린의 독특한 원자 배치구조(비등방성) 때문에 발생하는 다양하고 특이한 성질(전기·열 전도성, 광학적 성질 등)을 빛을 이용해 아주 짧은 시간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실증적으로도 가치 있는 연구다라고 평가했음.

 

지금까지 흑린이 외부 자극에 반응해 순간적으로 구조가 변하는 모습을 직접 관찰한 연구는 아직 없었음. 빛의 강한 에너지로 나노미터 수준의 구조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변형이 일어나는 순간을 포착하기 힘든데다, 원자 수준으로 얇은 흑린의 미세한 구조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특별한 관찰법이 필요했기 때문임.

 

연구진은 빛을 외부자극으로 써 흑린의 미세 구조가 실시간으로 바뀌는 모습을 관찰했음. 짧은 순간의 반응을 포착하는 데는 초고속 전자현미경을 이용했음. 초고속 전자현미경은 초고속 촬영 카메라처럼 아주 짧은 시간(최대 10-13, 100 펨토초) 간격으로 원자 수준의 움직임을 끊어 찍을 수 있음.

 

초고속 전자 현미경으로 얻은 2차원 이미지를 입체적 (3차원)으로 재구성한 뒤 시간 단위로 이어 붙여 흑린이 외부자극에 반응해 내부 미세구조가 바뀌는 전체 과정을 얻었음.

 

이를 통해 흑린을 구성하는 인(P) 원자가 더 빼곡하고 탄탄하게 쌓여있는 방향으로 구조 변형이 잘 생긴다는 사실을 발견했음. 원자가 빼곡하게 쌓여있는 방향으로 나노 주름이 더 잘 만들어진 것임. 피부는 탄력이 있을수록 주름이 잘 생기지 않는데 흑린에서는 상반되는 현상 나타났음.

 

특히 이번 연구는 초고속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암시야 이미징’(Dark field Imaging) 기법을 적용했음. 암시야 이미징은 전자빔이 물질 내부를 구석구석 통과하면서 얻은 정보를 모아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법인데, 짧은 순간을 포착하는 데 쓰기에는 어려운 기법임. 전자빔의 세기가 너무 약해 카메라의 필름역할을 하는 센서가 빔을 잡아내지 못하기 때문임.

 

연구를 주도한 김예진 UNIST 화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2차원 물질의 구조 동역학 관찰에 암시야 이미징 기법을 최초로 적용한 연구라며 국내 유일 전자 직접검출카메라를 활용해 암시야 이미징 기법을 쓸 수 있었다고 설명했음.

 

본 연구 성과는 ‘ACS Nano’ 지에 게재되었으며, 한국연구재단과 기초과학연구원(IBS), 삼성종합기술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