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물밖에서 ‘인공광합성’ 세계 첫 성공… 효율 100배 향상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조선비즈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06-30
- 조회
- 2,252
본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오형석·이웅희 박사 연구팀은 베를린공대와 함께 기체 환경에서 작동하는 인공광합성 시스템으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CO)로 바꾸는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힘.
인공광합성은 식물의 광합성을 모방해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에틸렌·메탄올 등의 산업원료로 바꾸는 기술임.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없애고 유용한 자원까지 얻을 수 있어 전세계에서 경쟁적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
일산화탄소는 생산 단가가 높지만 인공광합성을 이용하면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물질임. 인체에 해로운 기체로 알려져 있지만 산업 현장에서는 ‘환원제’로 널리 쓰임. 수소나 금속 등은 대부분 자연상태에서 불순물과 결합한 ‘산화’ 상태로 존재함. 이로부터 순수한 수소·금속을 얻으려면 산화의 반대 과정인 환원 반응을 유도해야 하는데, 이때 쓰이는 것이 환원제인 일산화탄소임. 일산화탄소는 아세트산 등 다른 재료를 만드는 원료로도 쓰임.
기존 인공광합성은 물속에서만 이뤄져왔음. 주재료인 이산화탄소를 물에 녹여야 하는데 이산화탄소는 물에 잘 녹지 않아 반응의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음. 효율을 높이려면 물밖에서 인공광합성을 구현해야 함.
연구팀은 촉매 역할을 하는 은(銀)을 활용했음. 은을 나노(nm·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산호(coral) 모양 알갱이들로 만들어 전극을 구성, 인공광합성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의 표면적을 극대화했음.
연구팀은 이를 통해 물속이 아닌 공기 중에서도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바꿀 수 있는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함. 이산화탄소가 물에 잘 녹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해 일산화탄소 생산효율을 100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음.
오 박사는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로 진행돼 큰 의미가 있다"며 "실용화를 위해서 경제성을 높이고 내구성과 성능을 더 높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함.
본 연구 성과는 ‘Nano Energy’ 지에 게재됨
- 이전글원자력연, 銀이 DNA를 만나면 발광하는 이유 규명 20.07.06
- 다음글표준연․KAIST 초저전력 전자소자 구현 길 열리나…‘스핀’ 난제 60년만에 증명 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