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플라스틱보다 10배 투명하고 유연한 신소재 개발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조선비즈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06-28
- 조회
- 2,076
본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주용호 박사팀은 28일 미국 퍼듀대 브라이언 보두리스 교수팀과 함께 높은 전도성과 투명함을 함께 지니는 플라스틱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힘.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전기가 잘 통하는 투명전극은 스마트폰과 TV, 각종 디스플레이에 활용됨. 투명전극 소재로는 전도성 고분자(PEDOT:PSS)가 사용되는데, 화학구조의 한계로 두께가 두꺼워지면 투명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음.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의 화학구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분자 사슬을 이루는 단량체 안에 홀전자(unpaired electron)가 있는 라디칼 고분자(radical polymer)에 주목했음.
라디칼 단량체를 이용해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도를 떨어뜨리는 공중합 구조를 없앤 비공중합 고분자 합성, 투명도와 유연성을 동시에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개발했음. 이어 이 전도성 고분자에 이온복합체를 첨가해 고분자-이온 복합체를 만들었음.
이렇게 만든 전도성 고분자는 필름 두께 1㎛(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에서 96% 이상의 투명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음. 이는 같은 두께에서 투명도가 10% 이하인 기존 전도성 고분자(PEDOT:PSS)보다 투명도가 10배 정도 높아진 것임.
주용호 박사는 "라디칼 고분자는 기존 전도성 고분자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 유기 전자재료 연구개발에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며 "앞으로 높은 전도도와 유연성, 투명도를 극대화하는 고성능 유기 전자소재의 개발로 이어져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 투명 디스플레이 소재 등 다방면의 발전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힘.
본 연구 성과는 ‘Macromolecules’ 지에 게재됨
- 이전글KAIST, 살아있는 세포 모습 세계 첫 관찰… “코로나 바이러스도 도전” 20.07.06
- 다음글SK하이닉스, 초고속 D램 'HBM2E' 본격 양산… 1초에 영화 124편 전달 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