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R&D] KIST, "외압·충격 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저하 원인 규명"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연합뉴스
- 저자
- 종류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06-18
- 조회
- 2,212
- 출처 URL
본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계산과학연구센터 이정훈 박사팀은 제프리 니튼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교수팀과 함께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높은 압력을 받을 때 나타나는 상전이 현상과 금속화 현상의 원인을 규명함.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유기 금속과 할라이드(I), 납(Pb)으로 구성된 전지로 효율이 높고 생산비용이 저렴해 현재 널리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로 연구되고 있음.
하지만 이 전지는 외부에서 높은 압력이나 충격을 받으면 내부 결정구조가 변하는 상전이 현상과 반도체 특성을 잃고 전기가 흐르는 금속화 현상이 나타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
결정구조가 사방정계에서 입방정계로 변하는 상전이와 금속화 현상은 전지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시키지 못하게 하는 치명적인 문제지만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음.
연구진은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양자역학 이론을 적용, 상전이 현상과 금속화 현상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증명함.
분석 결과 전지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 사방정계 구조의 내부 유기분자들이 더 안정성이 높은 입방정계로 점점 변하고, 납 원자들도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켜 전자 궤도(orbital) 혼성이 일어나면서 도체 특성을 갖는 금속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정훈 박사는 "이 연구는 향후 고성능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에 새로운 이론적 가이드를 제시할 것"이라며 "현재 납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 적용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본 연구 성과는 ‘ACS Energy Letters’ 지에 게재됨
- 이전글[국내/R&D] UNIST․국민대, 몸에서 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국내 연구진 신소재 개발 20.06.22
- 다음글[국내/R&D] 생명연, 단백질 작용원리 규명해 환경 유해물질 탐지 해법 찾았다 20.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