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국가과학자 유룡 KAIST 교수, 벌집 모양 규칙적 구조의 제올라이트 개발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교육과학기술부
저자
나노R&D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11-07-15
조회
4,582

본문

20110801173159012.png

20110801172646957.png

 국가과학자 유룡(??龍)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벌집모양의 메조나노기공과 보다 미세한 크기의 마이크로나노기공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육방정계 구조규칙적 위계 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신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세계수준의 과학기술자를 글로벌 리더로 집중 육성하고자 2006년부터 추진해 온 리더연구자지원사업(국가과학자)의 지원을 받아 일궈낸 성과로, 유교수팀은 2009년 나노판상형태의 초박막 제올라이트 물질을 합성하여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誌에 게재한데 이어, 벌집모양의 메조나노기공을 갖는 제올라이트 물질의 개발 성과로 사이언스誌2011년 7월호(7월 15일자)에 논문을 게재하여 제올라이트 연구의 우수성과 학술적 중요성을 모두 인정받았다.(논문명:Directing Zeolite Structures into Hierarchically Nanoporous Architectures)
 제올라이트는 가솔린 생산을 비롯하여 석유화학산업 전반에 걸쳐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촉매물질이다. 기존 제올라이트 결정 내부에는 무수한 미세구멍(나노세공)들이 규칙적으로 뚫려 있지만 그 직경이 매우 작아 반응 대상 분자의 확산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촉매활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미세한 마이크로나노기공과 그 보다 큰 직경의 메조나노기공이 동시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올라이트 물질을 개발함으로써 제올라이트 학계의 20여 년 숙원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제올라이트 물질은 연구팀이 특수 설계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었다. 이 계면활성제는 머리부분에 제올라이트 마이크로 기공 유도체를 포함하여 제올라이트 골격의 형성을 유도하고, 소수성 꼬리 부분은 제올라이트의 마이크로 기공보다 더 큰 메조 기공을 벌집 구조 모양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2009년에 개발한 2nm 극미세 두께의 나노판상형 제올라이트가 2차원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물질이었다면, 이번에 합성에 성공한‘육방정계 구조규칙적 위계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는 3차원적 구조 규칙성을 띤 나노구조물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벌집 구조를 갖고있다. 때문에, 새로 개발한 제올라이트는 산업적으로는 중요하지만 커다란 분자 크기 때문에 기존의 제올라이트를 사용하기 쉽지않았던 물질의 촉매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유룡 교수는“이번에 개발한 제올라이트는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이상적이고 안정적인기공 구조를 갖고 강한 산성을 띠고있어 기존의 제올라이트의 단점을 충분히 보안한 물질이다. 따라서 앞으로 산업적으로 중요한 많은 고부가 가치 반응에서 고성능 촉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를 통해 본 연구단이 개발한 합성 방법이 여러 종류의 제올라이트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보이면서 앞으로 200여 가지가 넘는 기존의 제올라이트들의 단점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