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 추진계획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KISTEP
- 저자
- 나노R&D
- 종류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08-08-07
- 조회
- 5,059
본문
1. 개요
○ 최근 IT, BT, NT, CT 등 기술간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기술과 산업이 등장하는 추세
- 융합기술은 새로운 제품‧서비스 시장의 Blue Ocean 영역으로 인식
○ 신산업 및 신성장 분야 창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신기술의 조기 선점이 필수적
- 주요 기술 선진국들은 이미 국가 주도로 미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융합기술 및 시장선점을 위한 투자 가속화
○ 이에 정부는 향후 5년 이내에 새로운 시장선점 및 신산업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융합 신기술 개발전략을 국정과제로 제시
- 성장동력 추진을 위한 정부부처별 역할분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융합 신기술 개발전략 본격 추진 필요
2. 현황 분석
1) 주요국의 정책동향
○ 미국
- NSF가 주도한 NBIC(Nano-Bio-Information-Cognitive Science) 기술융합 전략으로부터 융합기술 개발 본격 착수(NSF, June ‘02)
- 대표적인 융합기술 프로그램으로 ‘04년에 실시한 ‘Vision for 2020:Regenerative medicine’ 추진
○ 유럽연합
- EU의 융합연구는 CTEKS(Converging Technologies for the European Knowledge Society)의 주장에서 비롯
- 기술융합의 대표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로 ‘Knowledge NBIC project (’06~‘09)’ 추진
○ 일본
- ‘신산업 창조전략’(‘04)을 통해 콘텐츠, 헬스케어, 비즈니스지원 서비스 등 융합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책 추진
2) 국내 현황
○ 국가 차원의 융합기술 육성 전략이 부처별로 분산 추진
- (교과부) 다학제적 융합형 인력양성과 연계하여 신기술 창출형 융합기술개발사업으로 미래유망 파이오니아사업 추진(‘08)
- (여타부처)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전통산업과 IT, NT 등 첨단 기술의 접목을 통한 융복합화 추진
○ 융합기술 관련 연구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연구성과나 실용화에는 아직 초보 단계
- 서울대(차세대융합기술원), KAIST(바이오응용공학과), 포항공대(학제간연구센터) 등에서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 기초과학 수준
- 범부처적 추진전략(융합기술종합발전계획, ‘07)이 최근에야 수립되었고 구체적 실행이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
○ 국내 융합기술은 전반적으로 초기단계로 선진국의 최고기술 수준 대비 50~80% 수준으로 전반적으로 낮은 편
- 우리나라의 강점기술인 IT분야에서도 융합기술 수준은 기술 우위국 대비 61.7%에 그치는 것으로 평가
- 융합기술 분야 전문인력의 양적 부족과 함께 질적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KIET 설문조사, ’04)
3. 사업 목표
<<목 표 designtimesp=28972 designtimesp=4607 designtimesp=20533>> |
4. 사업의 주요 내용
1) 사업 유형
○ [유형1 : BIT기반] BIT기반 융합을 통한 신기술 개발
※ (예시) 질량분석 기반 디지털 분자 진단기술, 신경모방 소자 및 인지시스템 활용기술, 실시간 고해상도 의료영상기술 등
○ [유형2 : NT기반] NT․IT․CS(Cognitive Science), MT(Manufacturing Tech.) 융합을 통한 신기술 개발
※ (예시) NET 융합 솔라에너지 원천소재 개발, 플렉서블 필륨전지 기술, 분자제어 융합 소자 개발 등
○ [유형3 : ET기반] ET기반 융합을 통한 신환경 기술 개발
※ (예시) 환경친화적 에코 청정화 기술 개발 등
○ [유형4 : BT기반] BT기반 융합을 통한 신기술 개발
※ (예시) 바이오 의학 기반 맞춤형 DDS 기술개발 등
2) 사업 추진체계
○ 사업기간
- 총 사업기간 : 5년(‘09~’13)
※ 2+3년 방식으로 지원하되, 단계평가를 통해 계속 지원여부 결정
○ 사업 관리체계
- 기술기획에서부터 기술이전 등 사후관리까지 총괄하는 사업단장제를 도입하여 자율‧책임 운영제를 도입하고 기술개발의 일관성 및 완성도 제고
- 사업단간 주기적 포럼 및 성과전시회 개최를 통한 사업단간 유기적 연계 및 성과확산 체계 구축
- 사업평가, 진단, 진도관리 지원을 위해 전문기관 지정‧운영
3) 사업 추진전략 및 절차
○ 개방형 공동협력 연구체제 구축
-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간주도의 ‘기술개발 컨소시엄’형태의 사업단 구축
○ 원천특허 확보를 위한 목표관리시스템 확립
- 짦은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을 고려하여 단계(2+3년)별 Moving Target 설정 및 철저한 목표관리제 추진
○ 창조적 융합기술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과 연계 추진
- 산업체 및 연구기관의 수요에 적합한 맞춤형 융합 전문인력 양성프로그램과 연계 추진
○ 사업추진 절차 및 향후 추진 일정- 첨부파일 참조 요망
- 이전글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 사업계획 10.03.02
- 다음글이명박정부의 기초원천연구 진흥 정책 1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