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과학재단, 바이오 연구자들이 선정한 “2007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한국과학재단
저자
그린나노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7-12-28
조회
6,438
원문

본문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국가지정 생물학연구정보센터(소장 : 김상욱,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생명공학분야(BT) 연구자들이 선정한 '2007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를 발표했다.

올해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 선정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서 운영하는 과학설문사이트 SciON(사이온, http://www.sci-on.net/)에서 BT관련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이번 설문에 참여한 연구자는 총 772명이다.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는 2001년부터 BRIC에서 한 해 동안 소개된 바이오 뉴스를 연구성과, 과학정책, 과학사회, 생물산업 부문으로 분류한 뒤, 내·외부 자문단의 선별 작업을 통해 후보 뉴스를 선정하고, 연구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이중 연구성과 후보는 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Impact Facto가 10이상인 저널 중 제1저자가 한국인인 경우에 한함)에 등록된 논문 중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후보를 결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선정하였다.

 <2007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

※ 선정된 2007 국내 바이오 10대 뉴스의 순서는 중요도와 무관함.

1. [연구성과] 암세포만을 찾아 붙는 초고감도 나노 입자 개발
○ 저널명 :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 교신저자 : 천진우 교수, 선진석 교수(연세대학교)
○ 내용요약
    머리카락의 10만분의 1 크기의 나노(Nano)입자가 2mm 크기의 작은 암세포까지 찾아낼 수 있는 암 추적자로 변신하는데 성공했다. 연세대학교의 천진우(千珍宇 : 이과대 화학과)·서진석(徐桭錫 : 의과대 영상의학과) 교수팀은 암세포만을 찾아 붙는 초고감도 나노 입자를 개발, 이를 선명한 MRI 영상으로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2. [연구성과] 면역,발달의 중요역할 단백질 핵심영역 구조 규명
○ 저널명 :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 교신저자 : 오병하 교수(포항공과대학교)
○ 내용요약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생명과학과 오병하(吳秉夏 · 45세) 교수와 우재성(禹在晟 · 28세, 박사과정)씨 연구팀은 에이즈 바이러스 차단 등 의학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들에서 발견되는 ‘B30.2/SPRY' 영역의 삼차원 구조를 명확히 밝힌 것은 물론, 이 영역이 다른 단백질들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3. [연구성과]AMPK 효소 항암기능 규명
○ 저널명 : 네이처(Nature)
○ 교신저자 : 정종경 교수(KAIST)
○ 내용요약 :
  AMPK(AMP-activated Kinase)가 완전 결손된 모델동물을 제작활용하여 AMPK의 항암 기능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하였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KAIST 정종경(鄭鍾卿) 교수 연구팀(세포성장조절유전체연구단)은 (주)제넥셀, 충남대 의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협력하여 당뇨, 비만 관련 유전자로 알려졌던 AMPK가 세포 구조의 유지와 염색체 개수의 보존에 반드시 필요함을 증명하였다.

4. [연구성과]장기기억 형성 단백질 발견
○ 저널명 : 셀(Cell)
○ 교신저자 : 강봉균 교수(서울대학교)
○ 내용요약 : 서울대 강봉균 교수 연구팀은 생물의 장기기억을 형성하는 신호전달체계에서 특정 단백질이 핵심 전달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5. [연구성과]세포사멸 조절단백질 구조 규명
○ 저널명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 교신저자 : 정재준 박사, 전영호 박사(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내용요약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하 기초(연))의 정재준, 전영호 박사 연구팀이 세포사멸촉진 단백질인 Mst1 (Mammalian sterile 20-likekinase1)의 단백질상호작용 도메인 SARAH (Salvador/Rassf/  Hippo 공통 도메인)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였다.

6. [연구성과] 새로운 암 세포죽음 조절 유전자 발견
○ 저널명 : 네이처 세포생물학지(Nature Cell Biology)
○ 교신저자 : 정용근 교수(서울대학교)
○ 내용요약 : 국내 연구진에 의해 암 세포를 찾아 제거하는 데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가 발견되어 향후 암 치료법 개발의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1세기 프론티어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 정용근 교수팀 (서울대학교, 분자질병연구실)이 AK2(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유전자가 암 세포죽음을 조절하고, 간암세포주에서 AK2유전자의 기능이 손실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7. [과학정책] 정부 체세포복제배아연구 법적 규정 마련! 생명윤리법 개정안 공포 및 시행
○ 내용요약 : 정부는 10월 30일 국무회의에서 ‘생명윤리법’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이미 수립된 줄기세포를 이용해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연구하려면 종전처럼 보건복지부장관의 승인 없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내부 심의만 통과하면 된다. 그러나 줄기세포를 새로 만들려면 배아(胚芽)복제 등 윤리적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복지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8. [과학사회] 생명과학분야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대우 등의 격차 심화
○ 내용요약 : "2007 바이오분야 연구자의 처우 실태조사" 생명과학분야 연구직 종사자들의 처우는 소속기관, 근무시간 혹은 학력에 따라 처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 보다 정규직이냐 계약직이냐에 따라 처우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과학사회] 박사도 국내 이공계 기피? 유학파 이공계 박사 귀국 감소
○ 내용요약 : 과학기술부가 제출한 `해외 (이공계)박사 신고현황'에 따르면 해외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귀국한 전체 박사 신고자가 2003년 2165명에서 2006년 1320명으로 40% 줄었으며 이공계 박사는 2003년 919명에서 지난해 500명으로 46%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해외 박사 인력의 귀국이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귀국 신고자 중에서 이공계 박사의 비율은 2003년 42.4%에서 2005년에는 29.3%, 2006년 27.9%로 낮아져 이공계 박사의 귀국 기피가 다른 분야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생물산업] 한미 FTA 타결에 따른 제약 산업의 변화
○ 내용요약 : 장장 14개월간 진행된 한미FTA가 지난 4월 드디어 양국간 협정이 타결되면서 정부는 ‘실보단 득이 많은 협상 성과’였다고 평가한 반면 국내 제약업계는 협상에 따른 향후 피해를 우려를 나타내는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