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연구실 5개 신규 선정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교육과학기술부
- 저자
- 나노국제화
- 종류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09-08-07
- 조회
- 4,602
본문
1. 개요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세계 정상급 연구그룹 또는 연구자와의 글로벌 R&D협력의 선도적 모델인 ‘글로벌연구실’ 2009년도 신규과제 (5개)를 선정 ※ 글로벌 연구실(global Research Lab.) 이란 핵심 원천기술분야의 실질적 국제협력 심화를 통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및 국내 연구역량 제고를 위해 200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사업으로 2008년까지 총22개 글로벌 연구실을 선정 지원하고 있음 ○ ‘글로벌연구실’ 선정은 외국인 전문가가 포함된 국제평가단이 보유 기술수준 및 연구과제의 우수성 등을 심도 있게 검증하여 공정한 평가를 시행 - 1차 서류평가를 거쳐 2차 발표평가로 국내 연구책임자와 해외 연구책임자가 공동으로 연구 계획과 연구자 들간 역할분담 등을 직접 발표 2. 주요 내용 1) 그간의 사업 성과 ○ 글로벌연구실 사업은 국가 글로벌 R&D 역량을 높이는 핵심사업으로 자리매김 - 노벨상 수상자 등 해외 석학들이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06~’09년 평균 경쟁률이 17대 1에(총 449개 과제 신청, 27개 선정) 달함 - Science, Nature 등에 논문 발표, 특허등록 및 기술이전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음 ※ Science지(2007.7) ‘세계 최고 성능의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Nature Nanotechnology지(2008.7)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 기억 소자 개발 가능성 제고’, Nature Cell Biology지(2008.10) ‘온실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식물 유전자 발견’, Nature Photonics지(2009.4) ‘세계 최고효율의 단일구조 플라스틱 태양전지개발’ 논문 게재 등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에 우수 논문을 발표 2) 신규 글로벌연구실의 핵심 연구 내용 ○ 충북대(장수익)-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대(Andrew James deMello)팀 - ‘스마트 액적 바이오칩’을 주제로 연구 수행 예정 - 해외 연구책임자는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 플루이딕스칩 기반 종합효소연쇄반응(PCR) 기술을 개발 및 2009년 영국 공학분야 최고명예상을 수상하는 등 동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 ○ KAIST(김진우)-프랑스 국립고등사범대학원(Alain Prochiantz)팀 - ‘세포 간 전사인자 이동에 의한 신경세포 운명 동조 현상 연구’를 주제로 연구를 수행 - 해외 연구책임자는 신경 발생학 전문가로 2001년 Athena Award 수상자 ○ 포항공대(김동언)-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Elefterios Goulielmakis)팀 - 최근 대두되고 있는 아토초과학분야의 기술 개발 및 선도를 위한′아토초 과학기술센터 설립′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 - 해외 연구책임자는 2007년 G. Foteinos Prize of the Academy of Athens 수상자로 극고속 광학분야 전문가 ○ 연세대(이용재)-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Thomas Vogt)와 미국 브룩해븐 연구소(Chi-Chang Kao)팀 - ‘고압 팽창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나노기술 개발’을 연구 - 해외 연구책임자(T. Vogt)는 현재 동 대학 나노센터 소장이며 고체화학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 - 또 다른 해외 연구책임자(CC Kao)는 동 연구소 Natl. Synchorotron Light Source 소장으로 재직 중 ○ KIST(남석우)-이태리 국립신기술자원환경공사(Angelo Moreno)팀 -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고온 연료전지용 장수명 및 가격 저감화 구성요소 재료 연구’ 주제로 연구를 수행 - 해외 연구책임자는 연료전지 관련 ET 프로젝트 총괄책임자로 활동중이며 현재 ENEA High-Temperature Fuel Cell Project의 실장 3) 향후 계획 및 전망 ○ 이번에 선정된 5개 글로벌연구실은 연구실당 매년 5억원 내외의 연구비를 최대 9년간 지원 ○ 추후 글로벌연구실 사업을 지속 확대 추진함으로써 해외 미래원천기술의 안정적 확보와 글로벌 R&D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동 사업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환경에 대한 전지구적 관심의 증대와 정부의 녹색성장 의지에 부응하기 위하여 - 이번에 글로벌연구실중 녹색분야를 2개 선정 지원 - 앞으로도 녹색 글로벌 연구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 |
- 이전글‘08년도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현황 조사 결과 10.03.02
- 다음글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 운영 효율화 기본계획 1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