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융합산업 발전전략(안)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저자
- 나노R&D
- 종류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09-04-28
- 조회
- 4,999
본문
○ ’05.12월 정부는 제2기 나노기술종합발전 계획(’06~’15)을 발표하고 「2015년 나노기술 선진 3대국 기술
경쟁력 확보」라는 비전 제시
- 주요국들의 나노융합산업기술개발과 상용화 노력에 비해 우리는 체계적 산업화 전략 수립과 추진동력 확보
노력 미흡
○ 기술 융복합화에 의한 신산업 창출, 지구적 환경변화에 대응할 녹색기술의 필요성에 따라 나노융합기술의
중요성 더욱 부각
- 나노기술은 에너지, 환경, 바이오, 정보통신 등의 분야와 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충뿐만 아니라 녹색성장,
삶의 질 향상의 기반
- ‘15년 약 3조 달러(연평균 20%성장)로 예상되는 세계 나노융합 시장의 선점을 위한 선제적 산업육성 전략
수립 및 추진 필요
2. 국내외 나노융합산업의 현황 및 시사점
1) 나노융합산업의 의의
○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기존기술에 접목하여 기존제품을 개선·혁신하거나 전혀 새로운 나노기능에
의존하는 제품을 창출하는 산업
○ 나노융합산업은 신수종 cash-cow 산업으로 국가경제의 지속적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융합산업 형태로
진화·발전
- 세계 나노융합산업은 2015년까지 2.95조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 2014년까지 일반제품의 4%, 전자 및 IT제품의 50%, 생명과학 제품의 16%가 나노기술을 응용하고,
1천만개의 제조업 일자리 창출 전망 (Lux Research, ’04년)
- 국내시장은 ’20년까지 연평균 22.6%의 비약적 성장 예상 (KISTEP, ‘05년)
2) 우리나라 나노산업화의 현주소
○ R&D 결과,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일부 상용화 제품 출시
* 참조- 나노 산업화 현황 표
○ 국내 나노기술 수준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 수준이나 상위국과 기술격차가 큼
* 미국대비 소재 66%, 소자 77%, 바이오 60%, 공정‧장비 65% (Lux Research ‘07)
○ 그 동안의 정부투자는 기초 R&D 성과와 인프라 확충에 어느 정도 기여했으나, 연구분야의 다양화와
산업화 연계 노력은 부진
- 대부분의 산업화 사례는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하지 않고, 시장 진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생활소재 분야
중심으로 진행
* 치약‧비누‧화장품‧섬유‧세탁기 등 생활용품 : ‘06년 출시 나노제품 79건 중 59%
- 대학, 출연硏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나, 다학제적 협력연구체제가 취약하고 기업들의 투자와
참여가 부진
3) 시사점
○ 나노기술의 단순응용(수동형)으로부터 나노특성을 직접 이용(시스템화)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이전을
위한 선택과 집중 필요
○ 특히 나노기술개발 성과의 조속한 산업화를 위해 산업계 수요중심의 나노융합산업기술 개발시스템 구축이
절실
3. 나노융합산업 비전과 전략
1) 비전과 목표: 2015년까지 나노융합산업 3대 강국 도약
ㅇ 세계 나노융합산업 시장 15% 점유 (2천3백억불 수준)
ㅇ 나노기술 전문기업 500개, 글로벌 중핵기업 10개 육성
ㅇ 30개 이상의 세계 최고 나노원천융합기술 및 혁신제품 창출
2) 추진전략
○ 기존 주력분야인 일렉트로닉스, 소재, 공정‧장비 외에 신성장 분야인 에너지‧환경, 바이오메디컬을 포함
5대 분야 설정
○ 나노분야 원천기술연구개발 성과*를 산업화 추진의 우선 대상과제로 선정하여 원천기술개발의 산업화 연결
고리 강화
* 교과부가 추진중인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단의 연구성과를 살려 지경부 산업화 과제로 추진하는 방안 검토
○ 타겟기술을 기술성숙도와 시장수요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 R&D 지원 및 기타 정책수단 지원 방식
차 별화
4. 나노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 및 일정
* 참조- . 나노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 및 일정
5. 향후 후속 실행계획
○ 세부과제 중 「나노융합산업기술센터」 설립과 「나노융합 2.0」 R&D 프로젝트(10년 한시운용) 도입이 시급
- 이를 통해 동 발전전략의 강력한 추진주체 정립 및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실용적 연구개발 추진
1) 「나노융합산업기술센터」 설립 및 운영
○ (기본방향) 설립예산 최소화를 위해 H/W적 구성보다는 S/W적 구성에 중점
○ (설립방안) 운영주체를 기계硏으로 하여 기계硏의 메카트로닉스동과 대덕특구본부의 비즈니스허브센터 활용
(‘09.10월 완공예정)
○ (기능·조직)나노융합기술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화 추진을 위한 전주기적 지원
2) 「나노융합2.0」 R&D 프로젝트 도입
○ 교과부 관련 사업과 연계하여 융복합형 신산업‧신제품 창출이 용이한 멀티레벨형 R&D 구조 설계
- 나노기술 상용화 추진을 위한 전주기적지원*기능 프로그램 개발
* 기술(수요)발굴, R&D 사업추진(산‧학‧연 공동), 제품화, 시장창출
- 각 단계별 연구성과를 평가하여 성공가능성이 큰 과제들은 차기 단계에도 지원하여 기술개발, 제품화, 마케팅
까지 패키지형으로 지원
- 나노관련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단의 기초‧원천기술 연구개발성과의 산업화를 위한 후속과제로 추진하는
방안 검토
* 교과부와 동 사업성과의 제공범위, 시기, 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 안 마련
○ 각 단계별 과제 선정과 R&D 추진에 있어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요자(기업)가 참여하고 공유하는 웹2.0과 같은
쌍방형 시스템 운영
- S/W적인 온라인통합시스템 구축뿐만 아니라 「나노융합산업기술센터」의 R&D 디렉터들의 책임 하에 비즈니스
모델화
- 이전글제2차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 10.03.02
- 다음글첨단분야 청소년 과학체험 교육자료 개발 1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