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기 특성과 3D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나노 반도체 개발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과학기술진흥기구
- 저자
- 종류
- R&D
- 나노기술분류
- 나노공정·측정·정비
- 발행일
- 2022-04-27
- 조회
- 1,226
- 출처 URL
본문
● 일본 오사카대학교의 코가 히로타카 교수 연구팀이 목재로부터 유래된 나노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전기 특성과 3D 구조를 폭넓게 제어할 수 있는 나노 반도체를 개발
● 연구팀은 지속 가능한 생물자원인 나노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래된 ‘나노 페이퍼’를 사용하여 전자페이퍼나 생분해성 페이퍼 메모리 등의 환경친화형 전자 디바이스를 선구적으로 개발해 옴
● 나노 페이퍼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완전한 절연체이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주로 기재로서 이용하는 데 머물렀으며, 전자 디바이스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고갈성 자원에서 유래하는 반도체가 필요했던 상황
● 연구팀은 나노 페이퍼 특유의 3D 구조 설계 기술 및 단계적 탄화·형태 유지 탄화 기술을 구사하여, 절연체~준도체까지 계통적인 전기 특성 제어가 가능하면서 나노~마이크로~매크로에 이르는 멀티스케일로 3D 구조 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나노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
● 치밀하면서 매끄러운 나노 구조, 높은 비표면적의 나노 세공 구조, 벌집 모양의 마이크로 세공 구조 등을 구사할 수 있으며, 나노 페이퍼 반도체의 광범위한 전기적 특성 제어 범위 및 스케일 변환 3D 구조 제어성은 기존의 반도체 재료를 능가
● 본 연구를 통해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전자 기능 및 3D 구조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전체가 목재 유래 나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전자 디바이스도 제작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 성과는 지속가능한 그린 일렉트로닉스의 실현을 향한 길을 개척하는 성과로 평가
※ ACS Nano 게재(2022.04.27.), “Nanocellulose Paper Semiconductor with a 3D Network Structure and Its Nano–Micro–Macro Trans-Scale Design”
- 이전글질화물 반도체 박막 결정을 제조하기 위한 신기술 개발 22.05.09
- 다음글아연 공기전지 제조에 필요한 고효율 나노튜브-쌍금속 촉매 개발 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