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 종합 지침 2020 공개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
- 저자
- 종류
- 정책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20-08-07
- 조회
- 2,590
- 출처 URL
본문
▶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 ‘과학기술지표 2020’ 공개
□ 개요
과학기술지표는 과학기술 활동을 객관적·정량적 데이터에 따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약 170가지 지표에서 일본 및 주요국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음. ‘과학기술지표 2020’의 주요 지표를 보면, 일본의 경우, 연구개발비, 연구원 수에서 주요국(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한국 등 7개국) 중 3위를 차지했으며, 논문 수(분수 카운트 법)에서는 세계 4위, 주목도가 높은 논문 수(분수 계산)에서는 세계 9위, 특허 패밀리(2개 이상의 국가에 특허 출원) 수에서는 세계 1위를 차지함. 작년 재작년에 이어 같은 순위임.
논문 수(분수 카운트 법)의 경우, 중국이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주목도가 높은 논문 수에서는 미국이 1위를 유지함. 이번 버전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관한 4개의 칼럼도 게재하고 있음.
□ 주요 목차
제 1 장 연구개발비
1.1 각국의 연구개발비 국제 비교
1.1.1 각국의 연구개발비 동향
1.1.2 각국의 부문별 연구개발비 동향
1.2 정부 예산
1.2.1 각국의 과학기술 예산
1.2.2 각국 정부의 연구개발비 부담 비율
1.2.3 일본의 과학기술 예산(과학 기술 관계 예산)
1.3 부문별 연구개발비
1.3.1 공공기관 부문의 연구개발비
1.3.2 기업 부문의 연구개발비
1.3.3 대학 부문의 연구개발비
1.4 성격별 연구개발비
1.4.1 각국의 성격별 연구개발비
1.4.2 주요국의 부문별의 성격별 연구개발비
1.4.3 일본 기업 부문의 기초연구
제 2 장 연구개발 인재
2.1 각국의 연구자 수의 국제 비교
2.1.1 각국의 연구자 측정방법
2.1.2 각국의 연구자 수의 동향
2.1.3 각국의 연구자의 부문별 동향
2.1.4 각국·지역의 여성 연구자
2.1.5 연구자의 유동성
2.2 부문별 연구원
2.2.1 공공기관 부문의 연구자
2.2.2 기업 부문 연구자
2.2.3 대학 부문 연구자
2.3 연구지원자
2.3.1 국가 연구지원자의 상황
2.3.2 일본의 연구지원자 : 남녀별 연구지원자 수 내역
제 3 장 고등교육 및 과학기술 인력
3.1 일본의 교육기관 학생 수 현황
3.2 고등교육기관의 학생의 상황
3.2.1 대학학부 입학자
3.2.2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자
3.2.3 대학원 박사과정 입학자
3.2.4 석사과정 수료자의 진학률
3.2.5 여성 입학자 상황
3.2.6 고등교육기관의 사회인 학생
3.3 이공계 학생의 진로
3.3.1 이공계 학생의 취업·진학 상황
3.3.2 이공계 학생의 산업 분류별 취업 상황
3.3.3 이공계 학생의 직업별 취업 상황
3.4 학위 취득자의 국제 비교
3.4.1 학사·석사·박사학위 취득자 수의 국제 비교
3.4.2 일본의 박사학위 소지자
3.5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외국인 학생
3.5.1 일본과 미국의 외국인 대학원생
3.5.2 주요국의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외국인 학생
제 4 장 연구개발 아웃풋
4.1 논문
4.1.1 세계 연구 활동의 양적 및 질적 변화
4.1.2 연구 활동의 국가별 비교
4.1.3 주요국의 연구 활동 분야 특성
4.2 특허
4.2.1 세계의 특허 출원
4.2.2 특허 패밀리를 이용한 특허 출원 수의 국제 비교
4.2.3 국가·지역별 특허 패밀리 + 단일 국가 출원 수, 특허 패밀리 수의 시계열 비교
4.2.4 특허 패밀리의 국제공동 상황
4.2.5 주요국의 특허 출원 기술 분야 특성
4.2.6 특허 패밀리 출원처
4.3 과학기술의 관계 : 과학 연계 지수
기술 노트 : 특허 패밀리의 집계
제 5 장 과학기술과 이노베이션
5.1 기술무역
5.2 주요국의 산업 및 무역 구조
5.3 국경을 초월한 상표 출원과 특허 출원
5.4 연구개발 및 이노베이션
5.4.1 주요국의 기업 이노베이션 실현 상황
5.4.2 지식의 흐름으로 산학 협력
5.4.3 주요국의 기업 상황
- 이전글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관련 기술연구 개발 착수 20.08.24
- 다음글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0 공개 2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