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일본의 현황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KISTI
- 저자
- 나노전략
- 종류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10-06-11
- 조회
- 4,571
본문
일본정부가 범부처적으로 시행하고 있는‘과학기술연계시책군’사업의 주제에는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도 포함되어 있다.
‘과학기술연계시책군’은 일본정부가 국가적·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관계 부성(내각부,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등)의 연계속에서 추진하는 사업군을 지칭하는데, 관련 정책의 중복을 배제하기 위해서 도입된제도이다. 일본이 나노기술 리스크의 평가와 관리에 주목하는 것은 나노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위해성과 나노소재의 표준화, 리스크 관리 등이 나노기술 산업화의 장애물로 등장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부처간의 공동 대응을 주문하였다.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2005~2010)에서 나노기술의 사회수용을 재촉하는 연구 과제에 대해서는 정부부처가 개별적으로 관련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고, 부처간의 연계를 통해서 공동 대응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이후 2007년부터 현재까지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환경성 등의 관련 정부부처의 연계 아래에서 실시하고 있다.
○5개 부처 참여, 지난 3년간 41억엔 투자
일본정부는 2007년 이후 매년 100억원 이상을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문제에 투자하고 있다. 2007년 16.7억엔, 2008년 14.4억엔, 2009년 10.4억엔 등 3년간 총 41.5억엔을 투자하였다. 초기에는 문부과학성이 7억엔 이상을 투자하여 다른 부처보다 월등하게 많은 지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다소 주춤한 상황이다. 반면에 경제산업성, 후생노동성이 평균 40억원 이상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나노기술·재료분야의 2009년 예산이 881억엔이기에 일본 정부차원의 나노기술 지원예산의 4.6%가 나노기술의 안전성 및 사회적 영향에 투자된다고 볼 수 있다.
○문부과학성 - 표준물질창제, 나노측량 표준화, 생체영향 연구
문부과학성은 '나노소재 사회수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나노소재의 사회수용을 위한 나노스케일 재료를 만드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주로 표준물질창제, 나노 측량의 표준화, 나노 물질의 생체영향 평가 연구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10년에도 지속될 예정이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표준물질합성에서는 풀러렌 나노위스커(FNW)의 성장에 끼치는 물의 촉매효과의 정량적 해석에 성공
■ 나노측량의 표준화에서는, 정량 3차원 나노형상측량 기술을 위한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용 표준측량 프로트콜과 소프트 작성
■ 생체영향 평가에서는, FNW의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한 분해를 시사하는 결과 도출
■ 산화 티탄늄의 응집 덩어리의 세포독성 영향 연구
○후생노동성 - 독성 메커니즘, 유해성 평가방법 연구
후생노동성은 화학물질 리스크 연구 사업(나노소재의 인간 건강영향평가방법 종합 연구)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사업은 나노소재 독성 메커니즘, 체내거동 파악 등 독성발현인자 연구와 나노소재 유해성 평가에 이용가능한 방법 개발을 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풀러렌 및 CNT의 경피안전성정보 수집
■ 관련 업계와 연계, 시판 제품의 나노소재 안전성정보 수집
■ 표면코팅 나노 실리카의 세포내 동태·체내동태 연구
■ 나노 산화 티탄늄의 경피안전성 검토
■ 기타, 각종 나노재료의 설치류·영장류 대상 체내동태·조직 이행성,노출연구
○ 경제산업성 - 나노입자 계측기술
경제산업성은 나노 입자의 특성평가 방법개발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나노 입자의 계측 기술 확립,생체영향 평가방법, 폭로 평가 수법 개발, 나노기술 리스크 불안에 대처한 리스크 관리방법 확립 등을 연구한다.
■ 카본나노튜브, 풀러렌 등의 나노재료의 분산조제 기술/각종계측 기술(특성분석 기술)의 개발
■ in vivo시험, in vitro시험을 조합시킨 종합적인 유해성 평가 실시
■ 공업 나노재료에 관한 상세 리스크 평가서 작성 및 OECD WPMN 제공
○ 태스크 포스의 운영
나노기술의 환경보건안전(EHS) 문제에 대응하는 일본의 활동은 부처간의 공동협력에 기반하고 있다. 부처간에 연구분야가 일부 중복되어 보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문은 이러한 공동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적 활동일 것이다. 실제로, 일본은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매우 조직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2007년부터 연계 시책 군의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연계시책 군 밑에 태스크포스팀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이러한 태스크포스의 활동은 매우 활발하게 전개된 것으로 보인다. 태스크포스팀의 회의가 2007년 8회, 2008년 28회, 2009년 14회가 개최되었으며, 나노기술의 사회수용에 관한 국내외의 동향에 관한 정보공유, 연계 시책 군의 심포지엄의 기획, 나노소재산업화 및 표준화를 검토하였다.
회의 참석에는 정부관계자 이외에 부분적이지만 민간부문 연구자들도 참여하였다.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환경성 및 내각부의 관련 부처와 산업계나 관련연구기관의 연구자들도 참가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관련 정부부처간의 정보공유를 촉진하여 연구전략과 사업추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학기술연계시책군’은 일본정부가 국가적·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관계 부성(내각부,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등)의 연계속에서 추진하는 사업군을 지칭하는데, 관련 정책의 중복을 배제하기 위해서 도입된제도이다. 일본이 나노기술 리스크의 평가와 관리에 주목하는 것은 나노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위해성과 나노소재의 표준화, 리스크 관리 등이 나노기술 산업화의 장애물로 등장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부처간의 공동 대응을 주문하였다.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2005~2010)에서 나노기술의 사회수용을 재촉하는 연구 과제에 대해서는 정부부처가 개별적으로 관련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고, 부처간의 연계를 통해서 공동 대응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이후 2007년부터 현재까지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환경성 등의 관련 정부부처의 연계 아래에서 실시하고 있다.
○5개 부처 참여, 지난 3년간 41억엔 투자
일본정부는 2007년 이후 매년 100억원 이상을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문제에 투자하고 있다. 2007년 16.7억엔, 2008년 14.4억엔, 2009년 10.4억엔 등 3년간 총 41.5억엔을 투자하였다. 초기에는 문부과학성이 7억엔 이상을 투자하여 다른 부처보다 월등하게 많은 지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다소 주춤한 상황이다. 반면에 경제산업성, 후생노동성이 평균 40억원 이상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나노기술·재료분야의 2009년 예산이 881억엔이기에 일본 정부차원의 나노기술 지원예산의 4.6%가 나노기술의 안전성 및 사회적 영향에 투자된다고 볼 수 있다.
○문부과학성 - 표준물질창제, 나노측량 표준화, 생체영향 연구
문부과학성은 '나노소재 사회수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나노소재의 사회수용을 위한 나노스케일 재료를 만드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주로 표준물질창제, 나노 측량의 표준화, 나노 물질의 생체영향 평가 연구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10년에도 지속될 예정이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표준물질합성에서는 풀러렌 나노위스커(FNW)의 성장에 끼치는 물의 촉매효과의 정량적 해석에 성공
■ 나노측량의 표준화에서는, 정량 3차원 나노형상측량 기술을 위한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용 표준측량 프로트콜과 소프트 작성
■ 생체영향 평가에서는, FNW의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한 분해를 시사하는 결과 도출
■ 산화 티탄늄의 응집 덩어리의 세포독성 영향 연구
○후생노동성 - 독성 메커니즘, 유해성 평가방법 연구
후생노동성은 화학물질 리스크 연구 사업(나노소재의 인간 건강영향평가방법 종합 연구)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사업은 나노소재 독성 메커니즘, 체내거동 파악 등 독성발현인자 연구와 나노소재 유해성 평가에 이용가능한 방법 개발을 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풀러렌 및 CNT의 경피안전성정보 수집
■ 관련 업계와 연계, 시판 제품의 나노소재 안전성정보 수집
■ 표면코팅 나노 실리카의 세포내 동태·체내동태 연구
■ 나노 산화 티탄늄의 경피안전성 검토
■ 기타, 각종 나노재료의 설치류·영장류 대상 체내동태·조직 이행성,노출연구
○ 경제산업성 - 나노입자 계측기술
경제산업성은 나노 입자의 특성평가 방법개발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나노 입자의 계측 기술 확립,생체영향 평가방법, 폭로 평가 수법 개발, 나노기술 리스크 불안에 대처한 리스크 관리방법 확립 등을 연구한다.
■ 카본나노튜브, 풀러렌 등의 나노재료의 분산조제 기술/각종계측 기술(특성분석 기술)의 개발
■ in vivo시험, in vitro시험을 조합시킨 종합적인 유해성 평가 실시
■ 공업 나노재료에 관한 상세 리스크 평가서 작성 및 OECD WPMN 제공
○ 태스크 포스의 운영
나노기술의 환경보건안전(EHS) 문제에 대응하는 일본의 활동은 부처간의 공동협력에 기반하고 있다. 부처간에 연구분야가 일부 중복되어 보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문은 이러한 공동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적 활동일 것이다. 실제로, 일본은 나노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매우 조직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2007년부터 연계 시책 군의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연계시책 군 밑에 태스크포스팀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이러한 태스크포스의 활동은 매우 활발하게 전개된 것으로 보인다. 태스크포스팀의 회의가 2007년 8회, 2008년 28회, 2009년 14회가 개최되었으며, 나노기술의 사회수용에 관한 국내외의 동향에 관한 정보공유, 연계 시책 군의 심포지엄의 기획, 나노소재산업화 및 표준화를 검토하였다.
회의 참석에는 정부관계자 이외에 부분적이지만 민간부문 연구자들도 참여하였다.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환경성 및 내각부의 관련 부처와 산업계나 관련연구기관의 연구자들도 참가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관련 정부부처간의 정보공유를 촉진하여 연구전략과 사업추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전글스웨덴, 혁신과 성장에 필요한 협력 10.06.25
- 다음글호주 정부, 국가신도약기술전략(NETS) 발표 1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