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일본 일본, 인간과 사회를 지탱하는 기계공학을 위하여(人と社会を支える機械工学に向けて)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일본학술회의
저자
나노R&D|나노인력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9-07-14
조회
3,648

본문

1. 검토배경

 ○ 기계공학은 최근 그 대상 영역을 크게 확장하여 정보, 생명, 재료, 나노테크놀로지 등뿐만 아니라 전자기계, 정보기계, 지능기계, 생체기계, 복지의료기계 등 다양한 기계시스템을 창출하여, 심화와 학문 융합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공학의 현저한 팽창은 기계공학 학문자체가 사회 기대에 향후 얼마나 응해 가는지를 이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 이러한 상황하에 기계공학의 정의와 목적을 재차 분명히 해, 기계공학의 교육·연구·사회공헌 활동의 개혁을 진행시키는 것은 기계공학의 지극히 중요한 사회적 책무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인식에 근거하여 기계공학의 고유 특성, 21세기 사회에서 완수해야 할 역할 및 공헌, 기계공학의 학술 발전의 가능성, 그리고 차세대를 지지하는 인재육성의 본연의 자세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2. 추진방향

 (1) 신세기의 과학기술에서는 환경 제약, 자원 제약 하에서 안심·안전하고 풍요로운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중대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학술 각각을 심화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학문과의 협조·통합을 통해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거대한 시스템을 기능시키는 "지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타입의 공학 확립이 필요하다. 

 (2) 기계공학은 재료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기계역학의 4개 역학과, 설계·생산공학 등으로 구성된 학술이 상호 구성하면서, 한층 더 다채로운 응용 기술이 창출되는 특유인 지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학문의 발전성과 함께 뛰어난 종합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기계공학의 특유의 지의 구조에 기인한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지의 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 요구된다.

 (3) 일본의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기계공학 분야의 기초연구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수준에 있다고 인정된다. 다만, 분석적인 작업에 일관해 연구를 위한 연구에 빠지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구체적인 기술이나 기술 개선을 지향한 나머지 원리원칙이 소홀히 되는 상황도 인정된다. 따라서, 미래 사회를 전망해, 기계공학 입장으로부터 필요한 기술이나 야기되는 이노베이션을 전망해, 그 달성과정에서의 본질적 과제를 추출해 연구 목적을 설정한다는 자세를 한층 더 양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4) 획기적인 기술을 창출하고 이노베이션을 유도하려면, 산업계와 대학간의 계속적인 대화에 근거하며 산학 각각의 비전 견인형의 기초·응용 개발 연구 추진, 장기적·전략적 공동 연구를 위한 산학협력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산학의 동기를 결집하기 위해서, 기계공학을 종합적으로 취급하는 학회를 비롯해 자동차, 로봇, 가스터빈, 유체 기계, 냉동 공기조절기, 정밀기계 등 개별 기술 분야 관련 학회·협회가 "지의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조직을 넘어 협력해 바람직한 연구개발이나 산학협력을 위한 활동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 

 (5) 기계공학의 학술 발전을 위해서는 제조분야의 설계 생산기술을 비약적으로 고도화시켜 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의 추진에 의해서 신시대의 기계공학을 재차 확립하는 것이 중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6) 글로벌화를 위한 지적 경쟁력 향상에는 독창적인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박사 인재가 필수이다. 이노베이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일본에서는 최근 기계공학 분야의 박사 과정 진학자수가 감소하여 시급한 대응이 요구된다. 기계공학의 대학 관계자는 우선 이노베이션 창출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공헌하는 인재육성 기능의 충실·강화를 진행시켜야 한다. 또, 산업계는 우수한 박사 인재의 취업 조건 개선을 촉진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7) 기계공학의 학사, 석사과정의 교육 프로그램을 해외의 교육개혁이나 표준화 동향을 감안하면서,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내용으로 충실, 강화시켜야 하며, 기계공학의 교육 관계자는 시급하게 구체적 방책을 채택해야 한다. 또, 우수한 학사·석사 논문 연구에 대한 교육 목표의 명확화와 달성도 평가의 표준화가 급선무이다. 아울러 산학 제휴에 의한 실천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기술자 인재육성을 도모해야 한다. 

 (8) 초등·중등 교육에서는 "만들기"의 즐거움을 체감시키면서, 사회의 실제 문제에 대해서 과학기술 지식을 동원해 창의적으로 연구하며 실행 가능한 해결을 찾아내고 설계적인 견해를 함양하는 것이 창조성을 육성하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기계공학에 관련된 교육자나 기술자는 이러한 초등·중등 교육에서의 "만들기"교육에 공헌한다는 사명을 가지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시에 적극적으로 참가해 나가야 한다.

 - 목차 -
1. 서론
2. 배경
 (1) 최근의 과학기술 발전의 저해 요인
 (2) 사회의 기대에 따른 과학기술의 새로운 조류
3. 기계공학의 역할과 공헌
 (1) 기계공학과와 기계공학
 (2)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로서의 기계공학의 역할
 (3) 일본의 기계공학의 현상과 과제
4. 기계공학 학술의 발전
 (1) 역학을 기반으로 한 기계과학의 진전
 (2) 설계 과학으로서의 기계공학의 진전
 (3) 첨단·융합에 의한 기계공학 프런티어의 진전
5. 기계공학 분야에 요구되는 인재육성
 (1) 초·중등 교육에 의한 공학적 소양의 함양
 (2) 학사 과정 교육에 의한 인재육성
 (3) 대학원 교육에 의한 인재육성
6.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