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중국 중국, 나노기술발전 거시전략(3)-중국 나노기술 특허 경쟁력 - 纳米科技发展宏观战略(3)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화학공업출판사
저자
나노R&D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9-01-11
조회
3,731

본문

중국의 다른 국가와 비교한 나노기술 특허 경쟁력을 분석 정리하였다.
 
미국 특허 데이터베이스(USPTO database)의 검색에 의하면 중국이 나노기술과 관련된 특허수는 2003년이 1996년에 비해 217% 성장하였다. 화학, 촉매, 제약부문의 특허활동은 대폭 성장하였다. 중국 특허 데이터베이스 검색결과에 의하면 2002년까지 공개된 발명특허가 2403건 있고 2007년 4월까지 공개된 발명특허는 7959건에 달한다. 4년에 특허가 약 331% 성장하였고 성장폭는 매우 크다.(표1 참조)
 
표 1. 1985~2007년 4월 중국 나노 기술 발명 특허 건수
시간
1985~2003.1
1985~2005.3
1985~2006.6
1985~2007.4
공개한 특허 건수
2403
4026
6036
7959
출처 :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 특허 Database 검색.
 
1. 나노 과학기술영역 특허상황
 
"나노"를 주제로 하는 하이테크 전쟁에서 중국이 일정한 성과를 취득하였지만 나노 재료영역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금속과 무기물 비금속 나노 재료를 위주(80% 차지)로 하고 있고 고분자와 화학합성재료도 중요한 분야이지만 나노전자, 나노생물의약 등 기술함량이 비교적 높은 영역에서는 역량이 아직 빈약하여 응용연구분야가 약하다.
 
나노 재료영역의 특허신청 상황에서 알다시피 중국 나노 특허의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다. 그러므로 시기를 파악하여 나노 양자구조, 양자 부속품 및 집성기술과 나노 생물의약 및 부속품 집성기술의 연구에 배치하여 일부의 관건적인 영역에 돌파를 취득하여 미래의 하이테크 산업의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
 
2. 국제의 나노기술영역의 특허 신청 상황
 
총체적으로 2002년 말까지, 국제에서 유명한 DEWENTER Database에서 언급된 국제 나노 특허에서 미국, 일본과 유럽이 절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중국은 매우 적은 일부분밖에 차지하지 못했다. (표2 참조)
 
표 2. 1985~2002년 DEWENTER Database에서 언급된 나노 동족 특허 건수
국가
미국
일본
유럽
중국
프랑스
영국
특허 건수
2605
2673
2214
530
441
192
 
나노탄소관(納米碳管), 나노분체(粉體)와 나노폴리머 복합재료가 나노 재료영역에서 연구개발 시간이나 점유하고 있는 분량 및 기술성숙 상황을 물론하고 모두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이 3개의 기술영역을 나노 재료영역 특허기술 분석의 중점으로 선택한다. DEWENTER Database와 중국 특허 Database를 기초로 하고 나노탄소관, 나노분체와 나노폴리머 복합재료 특허신청에 언급되는 주요 국가 상황에 대해 분석을 진행한다.
 
□ 나노탄소관의 특허상황
2002년 말에, DEWENTER Database에서 224건을 검색하고 중국 특허 Database에서 90건(표 21)의 문헌을 검색한다. DEWENTER Database에서 일본이 나노탄소관 특허신청의 1위이고 다음으로는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등이 각각 일정한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이런 국가들은 모두 비교적 제작방법의 특허기술신청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설명한다.(표3 참조)
 
표 3. 1985~2002년 12월과 2007년 4월까지 중국 특허 Database에 명칭이 나노를 언급한 특허 건수
특허내용
1985~2002년 12월 특허 건수
2007년 4월까지 특허 건수
나노관
98+7
1219+60
나노탄소관
83+7
1029+55
나노약물
963+1
1439+35
나노폴리머
89
215+2
나노촉매제
159+6
238+4
나노도료
76+2
186+2
나노전자
59+2
902+86
나노고무
35+1
229+31
나노반도체
32+2
497+44
나노자성재료
42+8
78+16
모니터용 나노재료
13+1
247+21
나노분체
88+2
901+75
나노분말
113+4
822+42
주: 모든 특허는 발명특허+실용 신형
 
중국 외에 나노탄소관을 만드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는데 대부분은 고에너지가속기(高能束), 등이온체 혹은 레이저 등과 같은 하이테크를 사용하고 또한 정제방면에 순서 있는 나노탄소관 구조를 만드는 어려움에 대해 순서화 방법 등 관련된 연구를 전개하였다. 

만드는 목적외에 중국 이외의 선진 국가들은 광전자학으로 치우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물리장(field)발사 부속품 혹은 광학 부속품의 나노탄소관 등인데 이는 중국 이외의 국가가 신청한 특허기술함량이 높지만 중국 국내에서 만드는 방법이 상대적으로 낙후하고 또한 전자정보와 생물방면에 빈약하여 이는 중국과 다른 나라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그러나 지금 중국 국내에서 연구제작한 세계에서 제일 길고 제일 가느다란 나노탄소관은 중국이 높은 수준으로 제고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총체적으로 2007년 4월까지 나노탄소관의 특허, 나노관의 특허는 모두 10배 이상을 넘었으며 그 중 나노관을 제작 방법과 관련된 특허가 662건이고 약 나노관과 관련된 특허의 절반을 차지하였고 나노탄소관 제작방법은 558건, 나노탄소관과 관련된 특허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 나노분체 특허상황
 
2002년 말, DEWENTER Database에서 242건의 나노분체와 관련된 특허문헌을 검색했고 중국 특허 Database에서 117건을 검색하였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유럽 특허 점유량은 유럽특허국과 유럽 각국가에 신청하여 인정받은 특허를 포함한다. 나노특허가 여러 방면에서의 응용상황을 고려하여 나노특허 응용영역을 나노탄소관, 나노약물, 나노자성재료와 모니터용 나노재료 등 나열하여 대비분석을 진행한다.
 
중국 분체재료에서 차지하는 비례를 보면 분체재료의 기술은 나노기술에서 역시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고 또한 세계에서도 상당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모두 나노재료의 제작이지만 중국이외의 국가의 대부분은 모두 나노재료의 응용이다. 

중국은 대량의 나노재료 분체를 제작하였지만 2002년 이전의 특징은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몰랐고 근년에 제작방면에 비교적 큰 건수 성장을 가졌고 또한 응용방면에서도 강화가 현저하다. 나노특허 통게의 결과는 나노전자와 부속품 방면의 특허는 "10개년 5개년 계획"의 발전을 통해 2007년 4월까지 건수에서 비교적 큰 제고를 가져왔지만 국제적인 큰 회사가 가지고 있는 건수와 비하면 빈약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나노생물의약 방면에서 나노중약의 특허신청 건수에서 비교적 큰 발전을 가져왔지만 전체적인 수준의 제고가 크지 않고 특히 나노생물부속품과 의료진단 방면의 나노특허가 아직 너무 적다. 이 부분에서 중국은 발전해야 할 분야이다.
 
□ 나노폴리머 복합재료 특허
 
나노 폴리머 복합재료는 나노 재료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 유명한 DEWENTER Database에서 고분자/점토 나노 폴리머 복합재료와 관련된 특허가 56건 있었다. 그 중에서 미국(22건), 세계 특허(17건)와 일본(12건)이 제일 많았다. 주요 관련된 재료와 제작방법은 응용방면에서 주로 일용품에 치우치고 있다. 

중국 이외의 국가는 나노 유기물 재료의 응용을 치우치고 있고 또한 주요 응용은 촉매제, 광학부속품, 반도체와 도전재료, 자성재료와 모니터 등 하이테크 함량인 전자정보영역에 있지만 중국 국내에서는 다만 나노도료, 나노고무 등 기술함량이 높지 않은 민용제품 영역에서 응용이 있는 것이다. 더욱 깊게 분석하면 국제특허의 신청인의 명단에는 거의 모두가 세계적인 화학공학 회사라는 발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BASF, BAsell, Dow, Eastman, GE Plastic과 Honeywell 등이고 이는 이 영역에서 보편화되었고 경쟁도 치열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중국 특허 Database에서 고분자/점토 나노 폴리머 복합재료의 특허는 49건이고 그 중에서 5건은 다른 국가에서 신청한 것이고 중국 국내에서 신청한 신청자는 대부분이 대학교와 과학연구기관인데 이는 다른 나라의 주요가 큰 회사인 것과는 다르고 이는 도한 중국과 다른 나라가 과학연구체제와 과학연구 역량 분포에서의 차이를 설명한다. 회사가 신청한 특허는 생산력으로 전환하는데 있어서 더욱 큰 우위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