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기타 UNU-IAS, 기후변화에 대응 하는 혁신 기술 - Innovation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유엔대학
저자
그린나노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8-12-15
조회
4,859

본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해결책에 대한 논의와 투자는 대부분 탄소포집저장, 대양의 비옥화, 새로운 원자력 발전, 바이오연료 정도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의 바이오연료 생산 개발과 이와 관련된 식량 확보 문제에서 보았듯이, 이들 신기술에선 예기치 않은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이 보고서에선 기술 혁신이 어떻게 이행되는지, 이 혁신 기술의 잠재적인 이점은 무엇이고 이들 기술이 제기하는 새로운 도전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주요 결론은 에너지 문제의 해결 방안은 이미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수 십년 연구개발의 결과이며 사업화의 1단계에 들어서있다. 게다가 이들 해결책은 민간영역에서 연구와 개발에 들인 많은 투자의 결실이다. 따라서 정부의 적절한 지도력, 분명한 시장 신호, 규제 제도가 있다면, 민간 영역은 기후변화에 대한 혁신적인 대응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부에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나노기술의 역할을 검토했다. 나노기술은 ‘바탕 기술(platform)’이라는 말로 가장 잘 설명되며 물질의 가장 기본적인 빌딩 블락인 원자와 분자를 조작해서 나오는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언급된다. 나노기술 자체는 기후변화에 극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수소기반 경제, 태양 에너지 기술 혹은 차세대 배터리 같은 더 커다란 체제 속에 편입되면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선 세가지 넓은 범위, 즉, 효율적인 수소 이용 차량 개발, 태양열 기술, 신세대 배터리와 수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개발에 있어서 나노 기술의 역할을 보여준다.  
 
나노기술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핵심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나 개발된 나노기술을 널리 이용하는 데는 장애가 있다. 한 가지는 이 기술의 개발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위험을 다룰 강건하고 투명한 규제 제도가 없다는 것이다. 위험을 평가할 과학 연구도 필요하다. 이런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다른 해결책과의 비교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원자력의 위험과 해악과의 비교 같은 것이다. 기후변화라는 맥락 속에서 나노 기술 개발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상세히 분석해 주길 바란다.
 
3부에선 대안 에너지원으로 해양 에너지(Ocean Energy)의 잠재성을 다루었다. 대양 에너지는 다양한 변환 기제를 이용해서 대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광범한 공학 기술을 정의한다. 이것은 떠오르는 산업으로, 지난 30 년간 상당한 연구 개발이 있었음에도 2008년 처음으로 상업 설비가 생산을 시작했다. 대양에너지는 바다가 가까운 공동체나 국가가 에너지 공급원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이용 잠재성이 큰 나라는 일본, 영국, 한국, 프랑스, 스페인, 포루투갈, 캐나다, 미국 등이다. 이 기술은 시각적으로 별 영향도 없고, 이산화탄소 배출은 거의 0에 가까우며, 환경에 미칠 영향도 거의 없다.

4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있어서 숲의 중요성이 커지는 점을 설명한다. 약 20%의 배출 가스가 삼림황폐화와 토양의 퇴화에서 나와, 화석연료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많다.
 
이 보고서에서 논의된 각각의 해결책이 지닌 단점은 다른 형태의 에너지와 관련된 것과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명백하게 이해해야 한다. 지구 온난화나 핵발전소 사고 위험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 제시된 기술은 지역적인 영향만을 미친다. 해양에너지 기술은 최악의 경우에 에너지 시설이 있는 지역 해안에만 해를 끼칠 것이다. 이 보고서에 제시된 해결책은 지금 까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쳤다는 보고가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유망한 혁신 기술로 더 많은 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     
 
목차
서문
요약
1.       도입
2.       나노 기술
3.       해양 에너지
4.       개발도상국의 삼림황폐화로 인한 온실 가스 감축
5.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 기술의 잠재적인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