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미국 미국의 주별 과학기술 역량 비교 분석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KISTEP
저자
나노전략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8-07-17
조회
6,215
원문

본문

1. 개  요
 ○ 미국 Milken 연구소에서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77개 지표의 주별 순위를 종합 지수화하여 미국 50개 주의 상대적 순위 도출 및 분석
   - 77개 지표는 5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1위는 100점, 2위는 98점, 50위는 2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각 지표 순위를 지수화
    ※ 첨부파일 [별첨1] 과학기술 관련 세부 지표 참조

 ○ 04년도 순위와 비교해 본 결과, 과학기술에 대한 주정부별 투자 및 정치적 리더십에 따라 과학기술역량 순위가 변동
   - 기존에 과학기술역량이 높았던 주들이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고 안주하는 경우 과학기술역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확연
   - 기존에는 과학기술역량이 약했지만 주지사의 리더십 하에 집중적 투자를 추진한 주들이 큰 상승세

2. 분석 결과
□ 종합 순위 분석
 ○ 매사추세츠는 04년에 이어 종합 1위를 차지하였으나 2위와의 격차는 04년에 비해 감소
 ○ 2위는 04년 4위에서 2계단 상승한 메릴랜드가 차지하였고 5개의 모든 부문에서 10위내에 드는 고른 성적
 ○ 캘리포니아는 04년 2위에서 2계단 하락한 4위이며, 주의 규모상 미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벤치마킹 결과 경쟁력이 저하되는 양상
 ○ 노스타코타(14계단 상승), 하와이(11계단 상승), 알라바마(7계단 상승), 몬타나(6계단 상승), 사우스타코타(6계단 상승)는 급격한 상승세
 ○ 오하이오와 미시건은 제조업 쇠퇴로 인한 일자리 감소 등의 악재에 직면하였으나, 미시건의 경우 고급인력 실직자 재교육 등 적절한 정책 대응으로 현상태를 유지한 반면, 오하이오는 경쟁력 저하
 <표 1>주별 과학기술 지표 종합 순위(2008) 첨부파일 참조
 <그림 1> 주별 과학기술 지표 지도(2008) 첨부파일 참조

□ 부문별 순위 분석
 ○ 연구개발 투입
   - 매사추세츠가 1위이며, 캘리포니아는 04년과 큰 차이는 없으나 메릴랜드의 급부상으로 3위로 하락
 <표 2> 연구개발 투입 순위(2008) 첨부파일 참조
 
 ○ 벤처캐피탈 및 창업 인프라
   - 캘리포니아가 매사추세츠를 추월 1위를 차지, 특히 11개 지표 중 7개가 10위 안에 드는 좋은 성적을 기록
   - 캘리포니아는 특히 첨단산업인 나노‧환경기술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으나,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개발에서 약세
   - 또한 벤처캐피탈에 있어서는 높은 순위이나 다른 주들의 벤처캐피탈 증가율에 비해 다소 낮은 편이며, 지나치게 벤처캐피탈에 의존하는 경향
 <표 3> 벤처캐피탈 및 창업 인프라 순위(2008) 첨부파일 참조
 
 ○ 인적 자본에의 투자
   - 메릴랜드는 주민의 높은 교육 수준, 과학‧공학 분야의 많은 대학원생 수로 인해 3개 주를 추월 1위를 차지
   - 메릴랜드의 SAT 점수는 평균치이나 대학 시스템이 박사과정 학생과 포스트닥을 유인
 ○ 과학기술 인력
   - 메사추세츠가 압도적인 1위
 <표 4> 인적 자본에의 투자 순위(2008) 첨부파일 참조
 <표 5> 과학기술 인력 순위(2008) 첨부파일 참조

 ○ 기술 집중 및 활력
   - 유타는 04년 대비 많은 상승을 보이며 1위를 차지
   - 인적자본에의 투자에서 1위를 차지한 메릴랜드는 이 부문에서도 강세
 <표 6> 기술 집중 및 활력 순위(2008) 첨부파일 참조

3. 정책적 시사점
□ 우리나라도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정부 주도의 적극적 과학기술 투자를 유도할 필요
 ○ 지자체의 연구개발사업 기획‧관리 역량 제고 및 지역의 자발적 연구개발투자 환경 조성 필요
□ 또한, 지방R&D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별 과학기술역량 비교‧분석 지표 및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
 ○ 지역별 강‧약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획일적이 아닌 지역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대응방안을 마련
 ○ 지역 혁신 기반 성장을 위해 지역별 과학기술역량 비교‧분석을 통한 지역 자원의 파악과 활용 극대화 전략 필요
 ○ 국과위 차원에서 추진할 예정인 ‘지방R&D투자 효율화 실태조사’시 미국의 77개 유‧무형자산 지표 벤치마킹 검토


[별첨1] 과학기술 관련 세부 지표 첨부파일 참조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