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인도 인도 제11차 경제개발계획('07~'12)중 과학기술부문 주요내용 Report of The Steering Committee …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과학기술부
저자
나노전략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7-05-11
조회
4,913
원문

본문

1. 인도 제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07~’12)
  ○ 제10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 ‘07.3월로 종료
    - 10차 계획기간(‘02~’06) 동안 연평균 7%의 경제성장률 기록
  ○ 인도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기획위원회(Planning Committee)에서 제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수립
    - IT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제조업 동반성장, 물리적 인프라(철도, 항구, 공항, 통신, 전력 등) 확충 등을 통한 9% 이상의 경제성장 목표
    - 건설사업의 집중육성을 통한 신규일자리 창출, 교육제도 개편을 통한 국민 전반적인 교육수준 향상 등 양극화 해소

2. 제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중 과학기술부문
1) 개 요
  ○ 10차 5개년 계획의 실행을 통해 인도는 과학기술에 있어 주요한 Global player로 부각되기 시작
  ○ 11차 5개년 계획의 실행을 통해 인도가 모든 과학기술 영역에 있어 ’Global Innovation Leader’로 거듭날 것을 강조
  ○ 특히 다음의 이슈들에 대한 전략 수립이 중요
  - 과학기술인재육성
  - 기초연구
  - 대형과학프로젝트
  - 융합기술
  - 국제협력
  - 산학협력
  - 중소기업 지원
  - 지방과학기술육성
  - 과학기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행정개혁

2) 과학기술 예산
  ○ 10차 5개년 계획기간 동안 과학기술예산 지출액은 총 5조 6천억원
    - 우주부문 예산 지출액이 2조 5천억원으로 절반 가량을 차지
    ※ IT 부문의 경우 주로 기업에서 투자
  ○ 11차 계획기간 동안 과학기술예산 투자계획은 10차 계획기간 동안 지출액의 4.8배에 달하는 26조 8천억원 (GDP의 2%)
    - 특히 생명공학 관련 예산 증가폭이 두드러짐

                                                        <과학기술 관련 예산 지출액 및 투자계획 designtimesp=22918>

과학기술 관련 정부조직

 10차 계획기간 동안 지출액(백만원)  11차 계획기간 동안 투자계획(백만원)  증가

정도

Department of Atomic Energy

704,000

2,457,620

3.49배

Department of Biotechnology

369,600

2,783,000

7.53배

Ministry of Earth Sciences

(Ocean Development +

Atmospheric Sciences)

359,920

2,641,980

7.34배

Department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679,580

4,165,260

6.13배

Department of Space

 2,530,440

8,085,000

3.20배

Department of Science & Technology

967,780

6,701,200

6.92배

합  계

5,611,320

26,834,060

4.78배

  ○ 주요 이슈별 예산투자계획을 살펴보면, 과학기술인재육성 및 기초연구 관련 예산투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주요 이슈별 예산액 designtimesp=23051>

이  슈

11차 계획기간(’07~’12)동안 투자계획(백만원)

과학기술인재육성

2,075,700

기초연구

2,305,600

대형과학프로젝트

296,780

융합기술

590,700

국제협력

99,000*

산학협력

407,000

중소기업 지원

1,766,600**

지방과학기술육성

33,000

합  계

7,574,380***

     * Department of Science & Technology의 예산
   **  비 과학기술예산을 포함
  *** 주요 정책이슈에 대한 투자계획을 나타낸 것으로 전체 과학기술투자계획과는 차이가 있음


3. 이슈별 주요 내용

<과학기술인재 육성 designtimesp=23123>
 ○ 인도에서도 재능있는 젊은이들이 이공계를 기피하는 현상
 ○ 과학교육 개선 및 대학에 대한 투자, 이공계 학생에 대한 장학금 지급 등을 통해 우수한 젊은이들이 과학기술인재로 육성될 수 있도록 유인
 ○ 특징적인 정책으로 ’15년 경력 지원 프로그램(15 years Career Support Programme)’이 있음
   -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 등)하여 이들이 박사학위를 마칠 때까지 장학금을 지원하고, 학위를 마친 후 5년 안에 직장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기초연구 designtimesp=23133>
 ○ 인도의 경우, 중점 기초과학 육성 분야는 선진국(다국적) 기업들의 전략적인 관심에 의해 선정되는 경향
   - 생명공학(12개 분야), 물리학(7개 분야), 화학(5개 분야), 엔지니어링(9개 분야), 사이버 보안(5개 분야) 선정
 ○ 새로운 연구자금제공 메카니즘 마련, 기관간 협력, 연구인프라 구축 및 인력양성에 중점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대형과학 프로젝트 designtimesp=23142>
○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과학적 대답을 찾는 것이며, 매우 복잡하고 큰 규모의 예산이 소요되는 프로젝트
 ○ 다양한 기관간, 국가간 협력이 필요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융합기술 designtimesp=23149>
 ○ 융합기술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인 추진분야를 설정
 ○ 융합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학․연구기관․기업간의 연계, 과학․공학․의학을 통합할 수 있는 교육체계 마련, 민관협력, 적절한 법․제도 등이 필요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국제협력 designtimesp=23156>
○ ’동등한 동반자’적 입장에서 국제협력을 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적인 대형과학프로젝트에도 참여
 ○ 국제협력에 있어
   - 국가 프로그램과 국제협력과의 시너지 창출, 국제협력 실시 기관간의 효율적인 조정, 선정된 국가들과의 전략적 관계 구축, 기술 기반의 외교적 리더쉽 획득, 우수인재유치 등을 염두에 둘 필요

<산학협력 designtimesp=23162>
○ 산학협력은 수요지향적 접근이 필요한 응용연구에 있어 특히 중요하며, 나노과학․줄기세포연구 등 공공부문만의 노력으로는 상업화 등에 있어 어려움이 예상되는 최첨단연구에 있어 필요함
 ○ 인도에서의 산학협력은 지금까지 정부 주도적이었으나, 인도 기업들의 경쟁력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의 주도에 의한 산학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 조세감면 등 인센티브 마련, 대학생 인턴쉽제도, 대학-기업-연구소 콘소시움 구축, 연구자의 기업-대학간 이동제도, 벤처펀드 조성 등 다양한 산학협력 촉진기반 조성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중소기업 지원 designtimesp=23172>
○ 중소기업의 발전은 인도의 경제성장과 균형발전에 있어 중요함(인도 전체 기업의 90% 차지)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지방 과학기술 육성 designtimesp=23178>
 ○ 11차 경제개발 계획의 목표인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낙후되어 있는 지방의 산업화를 통한 고용 창출 필요
 ○ STRIDE (S&T for Rural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 Employment : 지방 산업화, 발전 및 고용을 위한 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
 ○ 세부 프로그램 및 예산
* 첨부 파일 참조 요망

<정책이슈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행정개혁 등 designtimesp=23185>
○ 과학기술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과학기술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행정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며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생각할 수 있음
   - 이미 승인된 기획에 의한 새로운 세부과제는 더 이상의 승인 없이 수행할 수 있어야 함
   - 과학기술 관련 부처의 장관은 5억루피(110억원) 이하의 과제들에 대해서는 장관의 재량으로 승인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과제들은 지출재정위원회 및 내각의 승인을 받아야 함

 ○ 그 밖에도 다음의 문제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
   - 인도에 외국기업들의 R&D센터 설립이 증가함에 따라 인도 지식재산권이 외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관리를 강화
   - 생물의약연구 등에서 이루어지는 동물실험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검토
   - 여성과학자들이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과학자들에 의한 벤처기업, 연구소기업 설립 촉진


4. 정책적 시사점
 1) 전체적인 경제개발계획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과학기술 비전 제시 및 이슈 선정 필요
  ○ 인도의 경우 과학기술계획은 경제개발계획의 한 부분
    - 11차 경제개발계획 목표(9%이상의 경제성장 및 균형발전)에 부합하는 이슈를 선정
    - 우리 과학기술기본계획 또한 전체적인 경제발전비전 및 목표와의 연계를 보다 강화할 필요
  ○ 정책이슈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행정시스템 개혁이 수반되어야 함
    - 인도의 경우, 보다 유연한 행정시스템을 통해 과학기술혁신을 가속화

 2) 지속적인 과학기술투자 증대 및 차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필요
  ○ 인도는 빠른 속도의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과학기술투자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생명공학 등의 중점 투자영역을 설정하는 등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음
  ○ 인도 등 후발국들의 위협적인 추격 속에서 우리나라도 과학기술투자의 지속적인 증대와 함께 우리나라가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차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할 필요

 3) 과학기술관련 계획 수립시 세부적인 실행계획 마련
  ○ 인도의 과학기술계획은 매우 세부적인 프로그램과 그에 대한 구체적인 예산계획이 설정되어 있음
    - 융합기술의 경우, 우리「융합기술 종합발전 기본방침」(‘07.4월)에서는 중점추진영역 및 활용분야를 예시적으로 도출한 데 비해, 인도의 계획에서는 세부적인 추진영역 및 구체적인 예산이 포함
  ○ 과학기술관련 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예산투자계획이 수립되어야 함


* 상세 내용은 첨부 파일 참조 요망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