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일본 일본의 나노기술 재료 연구개발 추진 방안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저자
나노전략|나노R&D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7-03-12
조회
6,677

본문

본 내용은 일본 문부과학성이 과학기술 학술심의회의 연구계획·평가분과회를 통해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2006.3.28)을 수립한 것으로 나노기술·재료분야에 대하여 연구개발계획 및 추진방안, 연구개발 추진의 중요 사항 등이 수록된 보고서(2006.7)의1) 내용을 요약한 것임.
 
연구개발계획 추진방안
종합과학기술회의에서는 나노기술 재료분야에 대한 중점 추진전략으로 나노 일렉트로닉스, 재료, 나노바이오 생체재료, 기반기술, 나노과학·물질과학 5개 분야에서 29개의 중요한 연구개발 과제를 제시하였음.

나노 일렉트로닉스 분야
차세대 일렉트로닉스
-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를 위해 초고속 프로세서나 초대용량 메모리, 고도 광신호 처리 및 고도화된 전자 광제어 소자에 대한 연구 및 실용화기술
- 중점 과제는 나노구조제어, 양자점 등의 양자 및 광제어 기술과 초고속 초집적의 전자 광소자, 테라비트 기록소자, 고효율 파워소자 등

분자·바이오·스핀 일렉트로닉스
- 정보기술의 새로운 응용분야에 도전하는 유기·나노튜브·나노입자 등 분자재료, 다기능의 신재료 및 신구조, 또한 전자의 스핀이나 강상관(强相關) 특성, 분자의 자기조직화 특성이나 생체기구 등 비실리콘 반도체 특성의 신기능·고특성 소자
- 중점 과제는 비실리콘반도체 특성의 분자기반 소자, 스핀 응용소자, 고도화 센싱소자, 바이오컴퓨터 소자 등의 소자 및 자기조직화, 고도구조 제어기술 등

양자 정보통신
- 양자물리와 정보기술과의 융합은 양자암호 기초이론이 보안 응용연구에 큰 영향를 주게 되며, 양자를 이용한 정보처리·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명과학 등의 기초 연구도 급속하게 진행
- 중점 과제는 단일양자의 조작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기술의 고도화, 대량조작 기술, 양자의 이해·해석, 양자계산·양자 메모리(memory)·양자 중계 등

나노 바이오 분야
생물학적인 기능·구조를 활용한 나노 바이오기술
- 생명과학과 융합한 주문형 진단·치료 도구인 DDS, 바이오칩, 나노 의료소자 개발과 생물의 기능구조나 메커니즘을 이용·제어하는 소자, 센서, 기능재료 등이며, 국소 셀 테라피(cell therapy) 등의 나노기술을 활용한 의료 프로세스 혁신 진단 치료기술
- 중점 과제는 셀 테라피, 바이오나노재료, 바이오나노시스템 등

생명기능을 해석하는 분석 기술
- 여러가지 생물현상을 나노수준에서 관찰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구축?물학적인 구조, 기능, 동작 원리를 파악·이해하는 연구 및 생명 시스템 해석
- 중점 과제는 개별세포 이미징, 세포매뉴팩처링 등

재료 분야
환경·에너지에 공헌하는 신재료·신기술
- 에너지의 고효율화를 위해 비약적인 기능 향상 및 신기능을 실현하는 물질·재료의 개발과 환경과의 조화, 자원고갈의 대응, 희소원소의 대체물질 개발
- 원자·분자기반인 나노구조·계면구조와 마이크로·매크로 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용재료 및 구조에 대한 기반기술 확립
- 중점 과제는 연료전지용 나노 구조제어재료, 나노 환경기능 촉매, 초전도재료, 열전재료, 에너지 변환재료, 내열재료, 수소용재료, 수송기기용 초경량 고강도 조직제어 구조체, 희소원소·유해물질의 대체·전략적 이용기술 등

차세대 혁신적 재료제조 기술
- 나노 구조제어, 전기적 성능, 광학적 성능, 초전도 성능, 자성, 기계적 성능, 환경내성, 가공성 등의 모든 물성을 비약적으로 향상
- 중점 과제는 무기물, 단백질 등 유기물, 나노 구조제어된 신물질 재료 제조기술 및 나노기술을 이용한 신기능 재료, 나노 소프트 머신, 프로그램 자기조직화 등

고신뢰성 재료기술
- 구조체의 고강도화·내식성향상·장수명화·저가격화 등으로 재료의 내구성이 향상됨 따라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환경·에너지 문제 해결에 공헌
- 중점 과제는 고강도 철강재료·용접부의 내심 사용 및 한도향상(限度向上)과 부식·파괴 평가, 구조재료의 크리프(creep) 특성 데이터 등에 의한 시간 의존형 손상 평가기술 등

기반기술 분야
나노 측량분석·가공·조형기술
- 첨단계측·분석 및 조형기술은 나노기술·재료분야의 기반기술로서 정보통신, 생명과학, 환경·에너지 분야 등에 절대적 필요
- 전자현미경이나 양자빔은 원자·나노 스케일을 분석 및 해석하고 물질·재료의 특성 및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중점 과제는 극미세 구조·물성 3차원 가시화기술, 나노 스케일 조형기술 등

나노 재료 모델링·시뮬레이션
- 수퍼컴퓨터의 비약적인 능력향상과 양자역학계산 방법의 진전에 따라 나노구조의 제어 및 물성 설계에 재료의 모델링이나 시뮬레이션 기술의 적용범위를 획대
- 중점 과제는 제1원리계산과 분자동력학계산 등의 복합한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등

X선 자유전자 레이저
- X선 자유전자 레이저는 나노기술·재료분야를 비롯하여 광범위한 과학기술분야에 대해 세계최고 수준의 국가기반기술로서 전략적으로 추진
- 세계 최단파장의 X선 자유전자 레이저기술로서 원자 수준의 초미세구조, 화학반응의 초고속 동태·변화 등의 측량·분석

나노과학·물질과학 분야
- 나노과학·물질과학분야는 나노기술·재료분야 중에서도 기초연구이며, 실용화에 가까운 연구분야와 상호 보완 필요
- 나노물질·나노구조 제조과학, 서브나노물질과학, 나노전자공학, 단일양자공학, 양자상관공학, 초분자과학, 프로그램 자기조직화 과학, 생물물리학, 분자정보생명과학, 나노바이오, 나노 측량과학, 계산과학
- 또한, 나노기술·엔지니어링은 정보소자나 생체소자, 에너지·환경 소자에 대한 계면의 기능성·제어성 등을 해석
연구개발 추진의 중요사항
나노기술·재료분야의 발전을 위해 중점과제의 설정과 로드맵 등을 제시할 다학제간 산학연관의 공동연구개발 협력이 필요함.

연구거점 및 네트워크의 구축
- 세계의 전략적인 경쟁과 사회적·정책적 니즈(needs)가 강하게 요구됨에 따라 재빠른 대응 필요
- 세계 top level의 연구능력 달성 및 유지를 위해 연구환경의 전략적인 정비 필요
- 2006년 종료되는 나노기술 종합지원프로젝트로 축적된 설비·경험을 효율적으로 활용
- 연구분야의 융합과 기술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최첨단 시설·설비를 지원하고, 연구지원 거점에 대한 이용 촉진 운영체제로 새로운 연구지원 체제의 구축을 시도
- 연구분야의 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나노기술의 연구분야를 망라한 물질·재료 제조기능을 보유한 연구거점의 정비 시도
- 나노 일렉트로닉스, 나노바이오, 혁신 재료 등의 향후 중점 연구분야에 대해 국내외 연구자간의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도록 연구체제의 구축을 위한 연구거점이 필요하며, 연구거점을 중심으로 연구자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

나노기술·재료분야의 인재육성
- 나노기술·재료분야는 21세기 과학기술·학술의 큰 비약이 기대되는 분야로서 산학연관의 젊은 연구자 리더를 육성
- 대학원에서 선도적으로 다학제간의 새로운 교육시스템(교육 커리큘럼의 책정·실시, 교육 과정의 운영체제 구축, 산업계의 인턴쉽 도입 등 다양한 프로그램 실시)을 구축
- 젊은 연구자의 미국 및 유럽 등과 국제교류를 추진하는 동시에 해당분야의 다학제간 인재육성에 대한 새로운 교육시스템 구축

산학관의 연계 및 분야별 융합 촉진
- 나노기술·재료분야의 연구성과는 현시점에서 시초 기술이 많기 때문에 향후 산업화에 대한 기초연구와 실용화의 연계가 필요
- Seeds 기술에 대한 교육과 실용화를 중점으로 명확한 비전하에 산학연관 연계의 연구체제를 구축
- 동시에 의공학 연계 및 분야별 융합을 촉진하는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세계의 선두적 기술혁신을 창출

책임있는 연구개발의 사고방식
-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의 이익이 상반되지 않도록 새로운 기술이 사회에 적용되기 전에 과학적 지식기반과 기술적 측면, 사회적 측면 등에서 이점이나 영향(과학기술의 윤리적·법적·사회적 영향·국제표준화)에 대해서 검토함.
- 나노기술은 새로운 학문으로 새로운 산업에 연결되는 과학기술영역이며, 사회경제의 발전 및 사람들의 생활수준의 향상 등에 크게 공헌이 기대됨. 한편, 공업적 이용, 의료응용 등의 측면에서 사람, 환경, 사회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검토함.

♣ 강상규 선임연구원 (skkang@kis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