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 국내 최초의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 구축
페이지 정보
- 발행기관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저자
- 나노국제화
- 종류
- 나노기술분류
- 발행일
- 2011-07-17
- 조회
- 12,288
- 출처 URL
본문
지난 7월 16일, 중국 장수성(江蘇省) 수저우시(蘇州市)에 위치하고 있는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 내에 중국 최초의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이 구축되어 이슈가 되고 있다.
중국 ‘국가 과학기술부(MOST)’는 2011년 7월 16일 베이징(北京)에서 ‘수저우 나노 기술 혁신 및 산업화 거점’을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으로 확정하였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이번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은 중국 내 최초인 동시에 유일한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에 속한다.
나노 기술로 신흥산업(新兴产业) 발전을 리딩하고 추진하는 것은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의 산업구조 조정을 추진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된다. 현재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 내에는 ‘수다워이거(苏大维格)’, ‘난다광뎬(南大光电)’, ‘나워이(纳微)’ 등 국제, 국내적으로 선진적인 나노기술업체 100여 개가 입주해 있으며 나노 마이크로 입자, 인쇄 전자, 나노 의약 등 분야에서 국제 선행 과학연구 성과를 배출하고 있으며 3.4억 위안(약 5,312만 달러)에 달하는 벤처 투자를 유치한 상황이다. 동시에 471건에 달하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3년 간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는 중국 ‘국가 중대 기초과학 연구 프로젝트’인 ‘973 계획’과 ‘국가 중대 첨단기술 산업화 연구 프로젝트’인 ‘863 계획’ 등 각 종 유형의 과학기술 프로젝트 235건을 실행하였으며 연구개발 비용은 2억 위안(약 3,125만 달러)을 초월하였다.
지난 2010년도에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의 연간 생산액은 40억 위안(약 6억 달러)을 초월하였으며 50% 이상의 연 평균 성장률을 보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는 ‘중국과학원(中國科學院)’ 산하 ‘수저우 나노기술 및 나노 바이오닉 연구소’, ‘수저우 나노 바이오의약 중점 실험실’과 ‘수저우 대학’ 산하 ‘기능 나노 및 소프트 물질 연구원’을 포함한 약 10개에 달하는 핵심 연구개발 기관을 유치, 설립하였다. 동시에 ‘나노기술 국가급 대학교 과학기술 단지’, ‘나노 부품 국가 중점 실험실 인원 육성 거점’, ‘수저우 나노 기술 산업 연구원’, ‘수저우 나노 시티(City)’를 구축하였다.
‘수저우 첨단기술 산업 단지’는 3.8억 위안(약 5,938만 달러)을 투입하여 기초연구, 응용연구, 공정 테스트, 공공 서비스 등 전국을 커버하는 전문 플랫폼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동시에 나노기술 혁신 및 산업 인재 5,500명을 유치하였는데 그 중에는 6명의 원사(院士), ‘천인계획(千人计劃)’ 선정자 7명, ‘중국과학원’의 ‘백인계획(百人计劃)’ 선정자 18명이 포함되고 있다.
이번 ‘수저우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의 확정은 중국 ‘국가 과학기술부’가 ‘수저우 첨단기술 개발 단지’의 나노기술 분야 연구개발 및 산업화 실력에 대한 인정으로 된다.
‘수저우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은 향후 5년 내에 100억 위안(약 16억 달러)을 투입하여 250만㎡에 달하는 ‘혁신 클러스터’와 ‘산업화 거점’을 구축하게 되며 500억 위안(약 78억 달러) 이상 규모에 달하는 매칭 투자를 유치하고 200억 위안(약 31억 달러) 이상 규모 생산액을 실현할 수 있는 ‘나노기술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1,000억 위안(약 156억 달러) 규모 생산액을 실현할 수 있는 관련 산업 분야 성장을 추진하고 3년 내에 나노기술 산업이 기업, 생산액, 중급 및 고급 수준 인재 분야에서의 ‘2배 성장’을 실현하도록 추진하고 3~5년간의 노력을 통해 ‘수저우 국가급 나노 첨단기술 산업화 거점’을 중국 나노기술 발전 분야 ‘혁신 거점’, ‘산업 거점’과 ‘인재 거점’으로 발전시키게 될 전망이다.
- 이전글[중국] 국내 최초의 ’나노 재료 표준‘ 발표 11.07.29
- 다음글[중국] '신재료 산업 12차 5개년 발전 계획’ 초안 제정 1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