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는 전자정보통신, 나노테크놀로지, 물질·재료, 계측기술, 생명과학, 산업기술의 각 분야의 연구개발 전략 입안을 위해 해당 담당 분야의 연구개발 상황을 부감해, 향후 연구개발을 추진해야 할 중요 연구영역을 추출하고 있다. ○ 추출된 중요 연구영역은 국내외의 연구 동향을 참고로 여러 가지 각도로부터 검토해, 해당 중요 연구영역이 어떤 연구개발을 거쳐 이노베이션 및 사회 비전을 실현시키는지를 제언하기 위한 전략범위를 책정하였다. ○ 본 보고서는 지금까지의 생명과학 분야의 부감 활동의 성과를 집약해, 사회 비전, 사회 요구에 따른 연구개발 전략 입안을 목표로 작성한 것이다.
2. 추진경위
○ 중장기적인 방향성을 고찰하면서, 향후 3년 이내에 정부가 착수해야 할 중요 연구영역의 추출을 목적으로, 게놈·기능 분자, 뇌신경, 발생·재생, 면역, 암, 식물 과학의 6개 분야 및 생명과학의 융합 분야에서, 최첨단의 연구개발을 실시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생명과학을 부감해, 향후 추진해야 할 중요 연구영역의 논의를 실시했다. ○ 2003년에는 생명과학을 ①생물과학, ②의료·복지, ③농업·수산·음식, ④생물자원(衣·住), ⑤사람과 사회, 자연 환경(생물 환경)으로 분류해, 기초적 연구 분야인 ①생물과학을 중심으로 그 부감에 착수했다. ○ 2004년에는 ①생물과학을 게놈, 시스템, 질환 제어, 뇌·신경으로 분류하고 ②의료·복지를 건강의 관점에서 부감했다. ③농업·수산·음식, ④생물자원(의·주)은 생물 생산의 관점에서 부감했다. ○ 2006년에는 ①생물 과학의 실험적 연구가 불가결한 "게놈·기능 분자", "뇌신경", "발생·재생", "면역(감염증을 포함)", "암"의 5개 분야에 주력해 부감하여 상세한 부감맵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부감 작업에 의해, 생명과학의 기초적 연구 분야의 부감의 기초가 구축되었다.
3. 생명과학분야에서의 추출된 중요 연구영역
○ 생물 의학의 다양한 정보를 취급하는 메타 인포매틱스(Meta Informatics) ○ 생체에 적응하는 다세포 구조(조직, 기관 등)의 인공 구축 ○ 근권역(根圈域) 연구에 의한 식물 환경 수복 기술의 실용화 ○ 암에 특이적인 세포 동태의 해명과 그 제어 ○ 언어와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과 뇌기능 ○ 맞춤형 의료의 기반 구축 ○ 신경·내분비·면역 네트워크 ○ 신경 회로의 시스템 다이내믹스(Dynamics) ○ 식물의 활동을 제어하는 시그널링(Signaling) 기술
1. "생명과학 분야의 부감과 중요 연구영역"의 총괄 1-1. 배경 1-2. 전략범위 검토 2. 개최 개요 3. 각 분야의 부감과 연구동향 3-1. 각 분야의 부감도와 연구동향 소개 3-2. 각 분야의 부감과 연구동향에 관한 토의 개요 3-3. 각 분야의 부감과 연구동향에서 시사된 생명과학 연구의 장래 전망 4. 생명과학의 사회 비전, 사회 요구와 윤리 4-1. 생명과학 연구의 사회 비전, 사회 요구의 파악 방법 4-2. 생명 윤리 4-3. 뇌신경 윤리 4-4. 생명과학의 사회 비전, 사회 요구와 윤리에 관한 질의응답 4-5. 생명과학의 사회 비전, 사회 요구와 윤리에 관한 토의 개요 4-6. 생명과학의 사회 비전, 사회 요구와 윤리로부터 시사된 생명과학 연구의 장래 전망 5. 중요 연구영역 선정으로부터 전략 범위 시작 5-1. 중요 연구영역의 작성 경위 5-2. 융합 부감맵 작성과 중요 연구영역의 자리 매김 5-3. 중요 연구영역 선정으로부터 전략 범위 도출 5-4. 전략범위 책정에 관한 고찰 개요 6. 자료 6-1. 분야별 부감맵 용어 설명 6-2. 중요 연구영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