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er

나노기술 및 정책 정보

일본 일본, 원자력 기초 기반연구와 프로젝트 연구의 연계 - 基礎・基盤研究とプロジェクト研究の連携について

페이지 정보

발행기관
원자력에너지위원회
저자
나노전략
종류
 
나노기술분류
 
발행일
2009-03-19
조회
4,204

본문

원자력기구의 기초 기반연구와 프로젝트 연구의 연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      중기목표

(1)    일본 원자력 연구소 및 핵연료 사이클 개발기구가 소유하는 시설, 설비, 인원을 일체적으로 활용하여 기초 기반 연구와 프로젝트 연구개발 사이의 연계와 융합, 통합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면서 사업을 실시한다.

(2)    프로젝트 연구개발을 실시하면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과제를 추출하여 해당 과제를 기초 기반연구로 피드백하여 해결을 도모한다.

 

2.      중기계획

(1)    기초 기반연구부터 프로젝트 연구개발에 이르는 폭넓은 전문분야의 연구자 및 기술자가 가진 경험과 성과 등 충실한 기술기반을 바탕으로 보유하고 있는 연구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효과적으로 실행한다.

(2)    실용화를 향한 프로젝트 연구개발을 추진하면서, 그 추진 부서부터 기초 기반연구를 추진하는 부서로 요구사항을 발신하고 기초 기반연구를 추진하는 부서는 그것을 정확하게 피드백하여 적시, 적절한 연구 목표를 설정한다. 또 기초 기반연구에서 얻은 성과를 프로젝트 연구개발에 적절히 반영시킨다.

 

3.      프로젝트 연구개발

(1)    분야에 특유한 기반적 연구는 프로젝트 내에서 실시한다.

-      고속증식로 사이클 실용화 연구개발

-      핵융합 연구개발

-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 연구개발

(2)    추진방법

-      정기적인 C&R, 계획의 재검토

-      산업계와의 연계: 사용자의 조기참가, 실용화와 가까워짐에 따라 연계를 강화

 

4.      기초 기반연구

(1)    핵공학, 원자로공학, 재료공학, 핵연료 핵화학 공학, 환경공학, 방사선방호, 방사선 공학

(2)    양자빔 기술, 시뮬레이션 공학

(3)    안전연구, 핵불확산 연구(핵물질방호, 보장조치기술)

 

5.      프로젝트 연구개발과 기초 기반연구 연계

쌍방의 연구개발부문에서 회의를 열어 요구의 제시와 연구과제에 관한 정보교환을 실시

 

6.      프로젝트 연구개발과 대학과의 관계

(1)    공동연구: 단독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공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선행 기초 공학 연구 협력 제도에 근거하는 연구 협력

-      핵연료 사이클 확립을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선행하는 기초공학 연구를 대상

-      대학에서 연구협력을 얻어 원자력 기구가 연구 협력 주제를 설정. 대학에서 각 주제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 필요한 연구협력 과제를 모집

-      응모된 과제를 원자력기구의 선고위원회에서 선고. 선정된 과제의 응모자는 원자력 기구의 연구원과 협력하여 연구협력 주제에 관해 연구

-      매년 10가지 정도의 주제를 채택(3년간 추진)

     기타: 핵융합 연구개발 등 프로젝트 연구개발 관련 공동연구

(2)    위탁연구: 위탁하여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및 개발

-      나트륨의 화학활성도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나노입자 제조기술 등 프로젝트 연구개발 관련

7.      정리

(1)    원자력 기구는 엄격한 예산제도 아래서 프로젝트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부서와 기초 기반연구를 추진하는 부서의 연계에 의한 연구개발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추진이 필수사항이다.

(2)    기초 기반연구는 스스로 연구개발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앞으로 프로젝트 연구와의 연계를 더욱 더 강화시키고 프로젝트 연구개발로부터 요구사항을 얻어 성과의 빠른 반영을 위해 노력한다.

(3)    프로젝트 연구개발은 대학, 산업계, 실시 주체 등과의 투명성을 가지고 연계를 추진한다. 앞으로도 기구 내뿐만이 아니라 국내외 관계기관과의 연계를 추진하고 효과적으로 최대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한다.